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의 자국어 교육으로서 한국어와 중국어를 대상으로 삼아 국가 표준 단위의 교육과정으로서 언어 교수의 내용 체계와 숙달도 등급 체계를 비교 연구하였다. 2020년을 전후하여 세계 여러 주요 외국어 교육의 기준과 참조를 위한 공식 문건들이 새롭게 개발되거나 개정되는 동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2020년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중국은 2021년 ‘국제중어중문 중문수평등급표준’을 정부 차원에서 고시하였으며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중국어 교육이 그간의 성장을 발판으로 삼아 한 단계 더 도약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양국의 교육과정이 고시된 배경과 개발의 흐름을 살펴본 다음 이어서 양자의 내용 체계와 숙달도 등급 체계, 총괄 목표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한국과 중국이 추진하고 있는 자국어 보급과 확산 정책에 있어 의도하고 있는 지점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통번역 교육의 도입, 비교가능성과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숙달 척도의 계량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으로 향후 CEFR, ACTFL, CSE와 같은 표준화된 범용 외국어 참조 기준과의 연계를 위한 비교 연구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In this study, by focusing o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education as example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content-framework and proficiency-criteria grading system were compared and studied in 'National Standard' documents. Around 2020, official documents for the standards and references of various maj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systems around the world have been newly enacted or revised. Korea announced the "Standard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in 2020 and China announced the "Chinese Proficiency Grading Standards for International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2021 at the government level. It can be evalua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inese language education as foreign languages have taken a step forward based on their growth. In this study, the background of the enactment of documents from both countries and the flow of development were examined, and then the content-framework, proficiency-criteria grading, and overall goal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document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intended point in the policy of dissemination and spread of language promoted by both countr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oduction of interpretation-translation edu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roficiency scales should be carried out to ensure comparability and compatibility. On the one hand, it was suggested that a comparative study is needed to link with standardized general-purpose foreign language reference standards such as CEFR, ACTFL, and CS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