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단계공려수리조합은 일제 말 전시체제기 산미증식을 위해 설립되었다. 단계공려수리조합이 설립된 금호면은 금호강이 관통하는 경북의 대표적인 쌀 생산지였다. 그 결과 일제초기부터 조선흥업(주) 농장과 동척이민으로 일본인의 이주가 많은 곳이었다. 일제는 중일전쟁과 자국의 경기 활성화에 따른 식량 요구에 폐지했던 수리조합을 다시 공려수리조합 형태로 부활시켰다. 공려수리조합은 1937~1939년까지 전국에 57곳이 설립되었다. 단계공려수리조합은 경북에서 설립된 공려수리조합 7곳 가운데 하나로 1938년 10월 27일 설립되었다. 일제가 영천군 금호면에 공려수리조합을 설립하려 한 이유는 첫째, 경북의 대표적인 쌀 생산지로 전시체제기 식량생산기지로서 주목했기 때문이다. 둘째, 기존 수리시설인 단계지를 이용할 수 있어 큰 자금의 투입 없이 설립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셋째, 일제의 식민농업정책에 적극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조선흥업(주)과 동척, 이주일본인 등이 존재하였기 때문이었다. 단계공려수리조합은 금호면 면의원, 조선흥업(주), 동척, 이주일본인인 사토 야스지(佐藤保治), 창녕 조씨 출신의 대지주 조규용 등에 의해 설립·운영되었다. 이주일본인 사토는 헌병 오장, 경찰 경부, 식산은행 주사 출신으로 1930년대 금호면 일대의 토지를 사들여 농업경영을 하던 인물이었다. 조규용은 단계공려수리조합 설립 후 조합장이 된 인물로 조합 구역 내 가장 많은 토지를 소유한 대지주였다. 대지주였던 조선흥업(주), 동척, 사토, 조규용 등은 단계공려수리조합 설립 이후 해방이 될 때까지 계속 평의원으로 활동하였다. 일제 말 전시체제기 단계공려수리조합이 설립되었으나 1939년, 1942년, 1943년 등 연속적으로 발생한 한해, 강제동원으로 인한 인구 유출, 각종 책임에서 벗어나려는 부재지주의 증가, 식량증산에 필요한 비료 사용 급감 등으로 인한 토지 황폐화에 따른 산미증식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단계공려수리조합은 3회에 걸쳐 조합 구역을 변경·확장하면서 전시체제기 식량증산이라는 식민농촌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The Dangye gonglyeo Irrigation Association was established on October 27, 1938 and merged with the Yeongcheon Farmland Improvement Association on March 31, 1948. The founding entity of the Dangye gonglyeo Irrigation Association was a member of Geumho-myeon, who were middle figure people who actively cooperated with Japanese colonial policy. In particular, the step-by-step public repair association area was the clan village of Changnyeong Cho clan, and they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as a myeon clinic and a large landowner. Among the founding members, Yasuji Sato, a Japanese migrant, was a former military police chief and police officer, settled in Geumho-myeon in the 1930s, bought a lot of land, and had a very strong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The operation of the Dangye gonglyeo Irrigation Association continues to operate the union as a council member until Cho Kyu-yong, a Korean landowner who owns the most land in Geumho-myeon (Changed his last name in 1942), Sato, a Japanese landowner, and Dongcheok are liberated.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Dangye gonglyeo Irrigation Association becomes a space that has no choice but to faithfully function as a colonial rural village, which is an increase in food during the war regime. In particular, in order to avoid the devastated farmland and various burdens of the local community caused by great drought in 1939, 1942, and 1943, the function of increasing food production was required on behalf of absentee landlords who moved to the city. The Dangye gonglyeo Irrigation Association tried to prevent the devastation of the local community by expanding the union area twice. The Step Publicity Repair Association faithfully performed the function of colonial farming villages called food production during the wartime reg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