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敦煌 ‘時間類’ 聯章體歌辭는 동일한 곡조와 고정된 형식을 사용하여 사건이나 사상, 감정 등을 표현함으로써 비교적 쉽게 기억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固定 格式의 가장 큰 특징은 ‘圖式性’이다. 이야기의 전개 방식을 미리 짐작할 수 있게 하는 ‘圖式性’으로 인해 이 작품들은 민간에서 널리 불려졌고, 불교에서는 이들 노래를 운용하여 불교의 교리 등을 전파하였다. 본 논문은 敦煌 <五更轉>을 중심으로 주제 도출을 위한 장치 요소로서 ‘時間’의 함의를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敦煌 <五更轉>의 원류 및 형식의 특징을 고찰하고, 작품의 서사구조를 분석한 뒤, 기타 ‘시간류’ 가사와 차별되는 <五更轉>의 도식성과 확장성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의식의 변환이나 깨달음을 상징하고 짧은 시간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등, 五更 내의 時間에 내포된 이들 함의는 대부분 전 작품에 걸쳐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Dunhuang Time-sharing joint chapter lyrics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relatively easily remembered by expressing events, thoughts, and emotions using the same tune and fixed form.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se formalities is ‘schematic’. These works were widely sung in the folklore due to the ‘schematic’ that allows you to guess the way the story unfolds in advance, and Buddhism used these songs to spread the doctrines of Buddhism, etc. This thesis is to study the meaning of ‘時間’ as a device element for deriving a topic, focusing on 敦煌 <五更轉>. To this en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 and form of 敦煌 <五更轉>,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work are analyzed, and then the schematic and extensibility characteristics of <五更轉>, are derived. Most of these meanings, such as symbolizing a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or enlightenment, and reminding us of the preciousness of a short time, appear complexly throughout the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