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고구려 流民 묘지명 등에 보이는 中裏官制에 주목하여 6~7세기 中 裏制의 구조와 운영을 밝히고, 그것이 관리 인사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6~7세기 고구려 중리관제는 조직면에서 두 유형으로 나뉘어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는 官等形 中裏官으로, 당시 고구려 관제 구조의 한 축을 이루고 있었던 兄 系 관등에 결합하여 중리관 사이의 서열을 드러내는 관등적 속성을 갖고 있었다. 관등형 중리관은 구체적 임무가 부여되었는데, 기본적으로 왕명 출납이나 왕실 재정 관리 등 近侍와 관련된 업무를 담당했으며, 왕과의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外官에임명되기도 하였다. 둘째는 官職形 中裏官으로서, 이들은 侍衛軍을 구성하였다. 이 역시 관등형 중리관의 서열에 맞추어 상하관계를 이룬 무관직이었는데, 位頭大兄 이하 小兄에 이르기까지 총 3종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고구려 중리관제는 6세기 중엽에 일어난 양원왕의 왕위계승분쟁을 계기로 개편된 것이었다. 기왕의 중리관제였던 中裏都督府는 평양 천도의 사전 작업의 일환으로 그 지역에 안치된 漢人 유이민의 통치와 등용을 위한 조직으로서의 성격이 있었다. 따라서 왕실 사무 및 근시 등을 관장하는데 있어 조직적인 측면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때문에 양원왕 등은 장안성 축조를 계획하면서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조직적으로도 근시에 보다 충실한 인적집단을 구상하였고, 그것이 현전하는 중리관제의 설립배경이었다고 이해하였다. 타국의 사례들과 비교하면, 이 시기 고구려 중리관은 근시조직이라는 것에 그치지 않고 관리의 등용을 위한 조직으로서도 기능했다고 보았다. 귀족 자제들은 중리관을 통하여 예비관료군이 되었고, 능력과 상황에 따라 내외의 업무에 종사하였다. 고구려왕은 중리관 출신자를 통하여 자신의 영향력을 보다 확대하려고 하였고, 이로 인하여 중리관의 수장인 莫離支는 왕명출납, 병력동원, 인사 등의 막대한권한을 가질 수 있었다고 보았다.


Focusing on the Jungligwan System found in the epitaphs of migrants in Goguryo, this study is attempted to clarify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Jungli Council in the 6th and 7th century and understand how it influenced the personnel management regarding government officials in the 6th and 7th century. According to the findings, Goguryeo’s Jungligwanje in the 6th and 7th century was operated in two types in terms of organization. The first type is Gwandeunghyeong Jungligwan which was combined with Hyeonggye Gwandeung that was one of the pillars of Goguryo’s control structure then. It was characterized by Gwandeung that revealed the hierarchy among Jungligwan. As the title, Jungli, says, Gwandeunghyeong Jungligwan’s duties were related to Geunsi (serving the king right beside him). Gwandeunghyeong Jungligwan recorded their duties to classify their roles, for instance, the recording of kind’s command or financial management for the court. The second type was Gwanjikhyeong Jungligwan who formed the demonstrators. They were, too, military officers having the hierarchy corresponding to the ranking of Gwandeunghyeong Jungligwa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otal three types including Sohyeong under Widudaehyeong. Goguryeo’s Jungligwan System mentioned above was reorganized in the wake of King Yangwon’s succession to the throne disputes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Junglidodokbu, the former Jungligwan System, was characterized as an organization for the rule and appointment of Hanin migrants who settled down in the region as part of the preliminary work of capital transfer to Pyeongyang. Therefore, there were certain limitations in terms of organizational aspects in managing the court’s affairs or Geunsi. Accordingly, while planning the construction of the Janganseong Fortress, King Yangwon and others envisioned groups of people that were separated spatially and more faithful to Geunsi in organizational aspects, and this is thought to be the background of the Jungligwan System that has been known up to now. Compared to cases in other countries, Goguryo’s Jungligwan in that period did function as an organization not only for Geunsi but for the appointment of officials as well. Through Jungligwan, the sons of the nobles formed the reserve bureaucrat group and engaged in both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according to their capabilities or circumstances. The kings of Goguryeo tried to expand their influence through Jungligwan, which allowed Makliji, the head of Jungligwan, to grasp absolute authority including the recording of king’s command, mobilization of troops, or perso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