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明代 군인의 瘴病 감염과 담배의 瘴病 예방 효능, 그리고 군인의 瘴 病 예방을 위한 담배 흡연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 남방지역에는 瘴 氣가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장기로 인해 장병이 빈발하여 이곳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사회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장기는 처음 도달한관료와 군인의 생명과 건강을 크게 위협했으며, 명조의 통치에도 영향을 미쳤다. 명말 군인들 사이에 담배는 瘴病을 예방할 수 있는 신비의 약물로 인식되었으며, 군인들은 장기를 예방하려는 목적으로 담배를 흡연하였다. 비록 담배 때문은 아니었으나, 당시 서남지역 개발과 기후적 요인으로 瘴病의 발병이 이전보다 드물었는데, 이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담배가 장기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인식했다. 더하여 담배에 대한 신비로운 이미지와 의사들의 약용적 가치에 대한 언급, 상인들의 선전으로 담배가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기대 속에 담배 흡연이 널리 퍼져나가게 되었다. 이후 북방에서는 군인들이 寒疾 나아가 疫病까지도 예방할 수 있다는 인식 속에 담배를 피우기 시작했다. 담배의 약용적 효능에 대한 인식은 담배가 기호품으로서 지위를 확보하기 이전에 담배를 확산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moking tobacco to prevent miasma(瘴氣) and infections zhang disease(瘴病) among soldiers during ming dynasty. Miasma is widely distributed in southern China. This harmful air threatened people’s health and affected social development. In particular, zhang disease threatened the lives and health of bureaucrats and soldiers who first arrived at a miasma distribution area. It also influenced the rule of the Ming Dynasty. It was recognized among soldiers as a mysterious drug that tobacco could prevent zhang disease. Soldiers smoked tobacco to prevent miasma and zhang disease. Although it was not because of tobacco, it seems that the outbreak of zhang disease was rarer than before due to the changes of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southwest region and cold climate change till the end of Ming dynasty. Tobacco would have been recognized by people at the time as having the effect of preventing zhang disease. In addition, tobacco smoking has spread widely amid the expectation that tobacco are beneficial to health due to the mysterious image of tobacco, mentioning the medicinal value of doctors, and the propaganda of merchants. Later, in the north, it was thought that tobacco could prevent cold(寒) and even epidemic(疫病). The perception of the medicinal efficacy of tobacco seems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preading tobacco until securing their status as a favo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