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구는 주로 지역과 섬에서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충남 도서지역, 전북과 전남의 도서지역, 경남의 도서지역은 타 지역에 비해 빠르게 인구가 감소하고 있어 행정안전부의 지역소멸지역에 등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지속가능한 섬 재생의 방법으로 문화관광을 도입하기 위해 일본 세토 내에서 진행되었던 장소특정예술로서 시각예술축제의 사례를 한국의 도서지역 도입가능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론적 고찰, 현황분석 및 문제 분석. 공공장소에서 시민과 소통하는 창의적인 문화활동을 통해 지역활성화와 문화공간가치를 창출하거나 쇠퇴지역을 문화중심지로 재편하여 사회적 활력을 높이고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현지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융합하는 지역밀착형관광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예술축제는 창조적인 사고를 지닌 젊은 예술가들의 유입으로 지역의 활력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다. 시각예술제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결과물이 축적되고 일시적인 이벤트가 아니라 겨울만 제외하고 봄, 여름, 가을로 시기를 확장하고 공간 또한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살펴 본 인구소멸 시대의 세토예술제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폐가, 폐교, 폐쇄된 공장, 창고 등의 유휴 공간을 활용한 지역재생에 문화예술을 활용한 성공적 사례이다. 둘째, 시대, 장소, 장르, 세대를 초월한 교류를 확대한다. 셋째, 인구소멸시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젊은이들을 유입하고 있다. 넷째, 지역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지역활성화를 이끌고 있다. 다섯째, 농수산물, 숙박 등을 제공하고 다양한 인적·물적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소득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도입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 프로젝트 및 지역과의 연대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 자원과의 연대이다. 셋째, 생활관광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넷째, 세계 관점의 시각이 필요하다. 다섯째, 자원봉사자의 육성과 강화를 핵심요소로 하는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화관광을 통한 도서지역 재생에 관한 시론적 연구이며,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와 접근방법을 통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opulation is rapidly decreasing, mainly in outer regions and islands. As a site-specific art festival conducted in the Seto inland area, Japan, to introduce cultural tourism as a method of sustainable island regeneration, a poetic study is attempted on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the case of the visual arts festival into Korea's island region through theoretical review, status analysis, and issue. Through creative cultural activities that communicate with citizens in public spaces, local revitalization and cultural place value are created, or the declining area is reorganized as a cultural center to enhance social vitality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The implications of the Seto Art Festival in the era of population extinction are as follows. First, it seems to be a successful case by using culture and art for local regeneration that utilizes idle spaces such as empty houses, closed schools, closed factories, and warehouses in the region. Second, it increases exchanges across times, places, genres, and generations. Third, it introduces young people with creative ideas in the age of demographic destruction. Fourth, regional revitalization is achieved through cooperation with local residents. Finally, it is increasing the income of local residents by providing agricultural and fishery products, accommodation, etc., and provinding various human and material services. Based on this, an introduction plan wss presented . First, there is a need for solidarity with art projects and regions. Second, solidarity with local resources. Third, there is a need for connection with living tourism. Fourth, a global perspective is needed. Finally, volunteers need to prepare a system for fostering and strengthening volunteers as a critical factor. This study is a poetic study on the regeneration of the island region through cultural tourism, and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