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20세기 초에 활동했던 문인 홍사용(1900~1947)이 1938년 이후 발표한 10편의 수필에 나타난 불교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먼저 10편의 수필 모두에서 불교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그중 8편에서는 인용된 불교 문헌의 전거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가 인용한 불교 문헌은 선불교와 깊은 관련을 지니고 있다. 다음으로 그가 인용한 『연경별찬』을 통해 홍사용이 사용했던 ‘백우(白牛)’라는 호(號)의 상징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법화경』의 일승(一乘)을 상징하는 백우는 그에게 있어 온갖 속박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존재를 의미하였다. 이는 당시 여러 제약 속에서도 정신의 자유를 갈구하던 홍사용의 염원을 구체화시킨 표현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이 10편의 수필은 홍사용이 40세를 전후해서 발표한 글들인데, 여기에는 그가 처했던 일제강점기, 도시화, 기계문명 등의 시대적 곤경 속에서 전통적 가치관을 통해 이를 극복하려 했던 모습이 강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여러 전통적 가치관 가운데서도 당시는 불교가 홍사용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Buddhism in 10 essays published after 1938 by Hong Sa-yong (1900-1947), an active writer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influence of Buddhism was strong in all 10 essays, and in 8 essays, the history of the detailed citing of literature could be found. The Buddhist literature Hong quoted are strongly related to Zen Buddhism. Through the Yeongyeong Byeolchan, Hong cited, it was possible identify the symbolism of the pen name “Baekwoo (白牛)”, which was used by Hong Sa-yong. Baekwoo, which symbolizes the “Ilseung (一乘)” of Beophwagyeong, meant a free being free from all restraints to him. This is interpreted as an expression embodying Hong Sa-yong's desire for freedom of mind even under various restrictions at the time. It is confirmed that he tried to overcome such restrictions through traditional values in the plight of the times such as Japanese colonial era, urbanization, and mechanical civilization. It is also possible to see that Buddhism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many traditional values on Hong Sa-yong at tha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