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한국민속예술축제와 문화재 지정이 촉발한 향토민요의 공연화 현상을 정리하고, 기능별 민요 공연의 문제점을 찾아 개선안을 찾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향토민요는 한국민속예술축제 출전을 하고, 이후 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전형적인 공연화에 이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제는 문화재 인정에 있어 한국민속예술축제의 수상경력이 종목 지정 타당성에 신뢰를 높여주는 상황이 되면서 민요 종목의 원형이나 전형을 과거 노동과 의례의 현장이 아닌 한국민속예술축제의 연출된 작품에 있다고 믿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문화재 지정 향토민요의 공연은 무대형, 마당형, 현장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마당형은 한국민속예술축제의 형태, 현장형은 그 이전의 실제 노동의 재현 형태인 반면 무대형은 아직 전형성이라 할 만한 모델을 찾지 못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무대형에 있어서 우리는 향토민요의 갈래적 정체성을 공연예술로 잡을 것인지, 민속예술로 잡을 것인지를 선택해야 한다. 공연예술로 방향성을 잡는다면 예술적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 그리고 민속예술로서의 방향을 잡는다면 공동체성, 현장성, 주체성, 자기주도성, 창의성 등에 가치를 두는 형태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organize the phenomenon of performing local folk songs triggered by the participation in the Korean Folk Art Festival and the recogni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to find a pla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folk songs. Folk songs will become a typical performance through the recognition of Korean Folk Arts Festival and Cultural Heritage. Above all, the serious problem is that the performances of the Korean Folk Art Festival are considered archetypal or typical. The performances of local folk songs can be divided into stage type, yard type, and field type. It can be said that the yard type is the form of the Korean Folk Art Festival and the field type is the reproduction of actual labor, while the stage type has yet to find a model that can be called typical. In the stage type, we must choose whether the identity of folk songs is performance art or folk art. If we take the direction of performing arts, we must increase the artistic perfection. And if we take the direction as a folk art, we should move on to a form that values community, field, subjectivity, self-directedness, and crea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