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심리적유연성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세에서 60세 사이 성인 455명을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토한 후 Process Macro를 통해조절된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정서조절곤란, 우울 사이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가유의하였다. 셋째, 정서조절곤란과 우울의 관계를 심리적 유연성이 조절하였다. 넷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가 심리적 유연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사람에게 우울이 발생하는 경로와 개인이 지닌 심리적 유연성 수준이 높아질수록 정서조절곤란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밝혔을 뿐만 아니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정서조절곤란의 매개를 통해 우울로 이어지는 경로가 개인의 심리적 유연성 수준에 의존함을 밝혔다. 이를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 우울한 내담자들의 보다 깊은 이해와 치료적 개입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시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among Intolerance of Uncertainty,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y, depression is mderated by level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through Process Macro.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55 people aged 20 to 60. Firs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in all major variabl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Third, psychological flexibil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difficulty and depress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was moderated by psychological flexibility. In other word, those with high psychological flexibility are less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through emotional difficulty, even if they experience a lack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implications that are helpful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tion of depressed clients in psycho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