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소속 조직과 집단에 대한 심리적 유대 인식이 발언행동을 통해 혁신행동에 기여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조직과 집단에 대한 심리적 유대의 지표로는 정서적 조직몰입과 두 가지 집단응집성(과제응집성, 사회응집성)에 주목하였고, 발언행동은 촉진발언과 차단발언으로 나눈 다차원적 개념을 채택하여 정서적 조직몰입, 과제응집성, 사회응집성이 촉진발언과 차단발언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이르는 다중매개모형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 변수의 관계를 통합된 하나의 모형에서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분석에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중국 직장인 350명의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변수 중 정서적 조직몰입과 사회응집성만이 발언행동을 증가시켜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는 직접효과는 없었으나, 발언행동을 통한 간접효과만이 확인되어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발언행동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정서적 조직몰입, 사회응집성과 혁신행동간 관계에서 촉진발언과 차단발언의 매개효과 각각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촉진발언을 통한 효과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적 유대 중 정서적 측면이 발언행동에 중요함을 보여주며,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 촉진발언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Using the concept of affective commitment and two types of group cohesion, i.e., social cohesion and task cohesion, this research attempts to study the impact of psychological bonds toward one’s workgroup and organization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voice behavior. The study also considered promotive and prohibitive voice behavior together in the model to determine their relative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 Thu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effects of three antecedents-affective commitment, social cohesion, and task cohesion-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both promotive and prohibitive voice were examined in an integrated model. A total of 350 online survey responses from Chinese employees were used for analyses. First, only affective commitment and social cohesion positively affecte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employee voice behavior; task cohes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ither voice or innovative behavior. Second, both promotive voice and prohibitive voi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However, the indirect effect of voice behavior on innovative behavior was significant only for promotive voice but not for prohibitive voice. Implic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