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로 인해 급변한 국내기업의 회의절차에 대해 살펴보고자, 회의참가유형 프로파일 집단에 따른 회의 관련 변수들이 차이를 지니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 중이던 시기에 두 차례에 걸쳐 국내 민간기업과 공공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수거하였고, 회의유형별 참가빈도 측정을 기반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지시․보고, 정보공유, 공통, 긴급 네 가지 프로파일이 확인되었다. 프로파일에 따른 회의만족, 회의효과성, 직무탈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정보공유 프로파일에서 회의방식(대면․비대면)에 따른 회의효과성과 직무탈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회의방식과 성별에 따른 회의만족에 대한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회의 관련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eting procedures of Korean work settings that have changed rapidly due to COVID-19, and also to explor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meeting-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the meeting participation type profiles. At the time social distancing was in progress in Korea, samples of office workers from private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were collected twice,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frequency measurement for meeting typ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profiles were identified: directing & reporting, information sharing, uniformity, and quick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on sharing profile, the difference in meeting effectiveness and burnout according to the meeting method(virtual meeting or face-to-face meeting) w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on meeting satisfaction between meeting method and gender was significant. We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long with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