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기질과 자기조절력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표본은 만 3세~5세 유아 106명(남 51명, 여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질과 자기조절력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기질의 ‘사회성’, ‘정서성’과 자기조절력의 ‘부적응적 자기조절’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예측변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기질, 자기조절력의 관계를 밝히고, 이러한 개인내적 변인들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는데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해 다양한 지역에 걸친 대규모 표집을 통해 대표성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on children’s self-esteem. The study subject sample was 106 children’s 3 to 5 years(51 boys, 55 girls) attending kindergart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on with children’s self-esteem. Second,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are predict variables for children’s self-estee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temperament and self-regulation on self-esteem.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s self-esteem can be improved if parenting and counseling are conducted after recogniz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t home and counseling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