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조선후기 고흥[흥양] 지역 여산송씨 가문 3대의 서행 경로와 그 길 위에서의 풍경을 검토하였다. 먼저 여산송씨 가문 3대의 서행을 ‘출발지-목적지-도착지’ 등의 여정으로 나누어 31회로 구분하고 매 회 서행의 목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송정악, 송지행, 송석년 3대가 서행한 경로를 검토하였다. 서행은 고흥을 출발하여 전주, 익산, 여산을 거쳐 충청도 공주, 천안을 지나 경기도 광주나 과천을 경유한 후 한성에 이르는 길이었다. 이는 한성에서 제주로 가는 길 또는 한성에서 통영을 가는 길을 통해 전라도까지 오는 길이었고, 다시 전라도에서 여러 읍치를 경유하여 고흥으로 오는 경로였다. 31회의 서행 기록은 그때그때 목적에 따라 여정에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한성에서 통영로를 따라 내려오다가 남원 이하의 분기점에서 고흥으로 빠지는 길이 주요 노선이었다. 마지막으로 여산 송문 3대가 보고 듣고 느낀 여행 경험을 검토하였다. 먼저 비포장 도로로 기상 상황에 따라 진흙탕 길이 되는 열악한 여행길의 사정을 살펴보았다. 당시 주요 이동 수단은 말이었는데, 말을 개인적으로 구매하기 어려울 때에는 이를 대여해 주는 네트워크의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여행은 단독으로 떠나기 보다는 ‘안전’, ‘수단’, ‘심리’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동행을 선호하였다. 비록 고흥의 여산송씨 가문의 한 사례이지만 이를 통해 18-19세기 호남 지역 양반의 전라도-충청도-경기도-한성으로 이어지는 서행의 여행 풍경을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Seohaeng (jurney to western route) route and the scenery along the way of the three generations of Yeosan Song Family in the Goheung region of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 the journey called Seohaeng of the three generations of Yeosan Song Familywas was divided into 31 itineraries based on 'departure (Goheung)-destination-return(Goheung)', and the purpose of each journey was examined. Second, the route of the journey comprised of the three generations of Song Jeong-ak, Song Ji-haeng, and Song Seok-nyeon was reviewed. Their Seohaeng started from Goheung, passed through Jeonju, Iksan, and Yeosan, and then Gongju and Cheonan in Chungcheong Province, and Gwangju or Gwacheon in Gyeonggi Province until they reached Hanseong. This was the route from Seoul to Jeju or from Seoul to Jeolla-do via Tongyoung and it meets Heungyang through several towns in Jeolla-do. According to the 31 Seohaeng records, the itinerary differs depending on the purpose at each time, but the main route was from Hanseong to Tongyeong-ro and then finally to Heungyang at the junction below Namwon. Third, the study examined the travel experience that the three generations of Yeosan Song Family saw and heard, and felt. To better reveal the scenery of the trip, the condition of the road which was mainly a muddy road was reviewed. At that time, the main means of transportation was horses, and when it is difficult to personally purchase a horse, the possibility of a network to rent a horse was suggested. The study reviewed the purpose of accompaniment for traveling from three aspects; safety, means, and psychology, and in addition, examined various aspects of a Jumak (inn) that provided services related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Alhough it is just one case of the Yeosan Song Family in Goheung, we can infer the route scenery of the 18th and 19th century Honam Yangbans traveling from Jeolla-do - Chungcheong-do - Gyeonggi-do - to Hanseong through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