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7세기 후반 제주목 관내 용연에 한정되어 조성되기 시작한 제주지역 磨崖石刻은 18세기 이후 제주지역 전체로 확산되면서 방문자의 이름을 새긴 題名과 방문지의 암석 등에 이름을 명명하여 새긴 題額 뿐만 아니라 시를 읊어 새긴 題詠을 비롯하여 事跡을 기록한 것, 유생들의 면학 고취를 위한 것, 旌閭를 대신한 것 등 유다른 석각이 출현하게 된다. 19세기에 들어서는 제주목사를 중심으로 渡來人이 주도하던 석각 조성에 제주인이 또한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되면서 20세기 초반까지 마애석각은 지속적으로 제주지역에 조성되었다. 조선후기 제주지역에 조성된 이러한 마애석각은 사료적 측면에서 첫째, 제주목사가 관찰사의 직임에 준하여 대정․정의 두 현을 감독․관할해야 했던 조선시대 제주지역의 특수한 통치체제를 보여준다. 둘째, 조선후기 제주지역의 시대적 정치사회상을 반영한 다. 셋째, 유교주의에 입각한 조선의 치민정책의 일면을 보여준다. 넷째, 육지 문물이 제주지역에 유입, 확산, 정착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The Jeju area, which began to be built only in Yongyeon, Jeju-mok in the late 17th century, has spread throughout the Jeju area since the 18th century, and there are not only names engraved on the names of visitors and rocks at the destination, but also other stone carvings. In the 19th century, as Jeju people als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stone sculptures led by Jeju pastors, Rock cliff carvings continued to be built in Jeju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In terms of historical records, these Rock cliff carvings built in the Jeju a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w a special governance system in the Jeju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when Jeju pastors had to supervise and control two prefectures of Daejeong and Jeongui according to their duties as observers. Second, it reflects the political and social image of the times in the Jeju area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rd, it shows one side of Joseon's civilian policy based on Confucianism. Fourth, it shows the process of land culture entering, spreading, and settling in the Jeju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