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남미의 피카소’로 불리는 에콰도르의 국민화가, 오스왈도 과야사민(Oswaldo Guayasamín, 1919~1999)의 예술세계는 일반적으로 3개의 주요단계, 즉 초기 <애도의 길>과 중기 <분노의 시대>, 그리고 후기 <온유의 시대>로 구분한다. 본 논문은 이중 과야사민의 초기 예술세계인 <애도의 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야사민의 <애도의 길>은 다시 에콰도르 화단에서 두각을 나타내게 되는 사회현실적인 인디헤니스모(Indigenismo) 시기와 ‘국민화가’로 자리매김하며 국제적 명성의 문을 열어 준 와카이냔(Huacayñán) 시리즈 시기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중남미 미술연구는 미술 분야만 따로 떼어 접근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치, 사회, 역사, 종교, 문화, 인종 등과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과야사민의 초기 예술세계는 에콰도르의 근대화 과정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진행된다. 첫째,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 이후, 에콰도르의 근대화 과정을 국가 이데올로기로서의 인디헤니스모와 메스티사헤(Mestizaje)를 중심으로 일별한다. 둘째, 과야사민의 초기 예술세계 중 첫 단계인 사회현실적인 인디헤니스모 시기를 그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셋째, 인종 분열과 사회적 갈등을 봉합하려는 의도로 국가가 과야사민에게 의뢰한 와카이냔 시리즈의 작품 분석을 통해 에콰도르의 근대화 과정에 대한 과야사민의 입장을 탐구한다. 넷째, 와카이냔 시리즈의 정점에 있는 <움직이는 벽화, 에콰도르>(Ecuador ‘Mural de movimiento’, 1952)를 중심으로 에콰도르의 정체성과 미래에 대한 과야사민의 통찰을 살펴본다.


The art world of Oswaldo Guayasamín(1919~1999), an Ecuadorian national painter called “Picasso of Latin America”, is generally divided into three major phases: early <The Path of Tears>, middle <The Age of Anger>, and later <The Age of Tender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h of Tears>, Guayasamín’s early art world. Guayasamín’s <The Path of Tears> can again be divided into the period of the social-realistic Indigenismo, which stands out in the Ecuadorian art world, and the period of the Huacayñán series, which established him as a “national painter” and opened the door of international fame. However, research on Latin American art has strongly adhered to its politics, society, history, religion, culture, race, etc., to the extent that it is difficult to access only the art field separately. In particular, Guayasamín’s early art world is closely related to Ecuador's modernization process. Therefore, this paper proceeds as follows. First, after independence from Spain,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Ecuador is reviewed focusing on Indigenismo and Mestizaje as a national ideology. Second, the first stage of Guayasamín's early art world, the social-realistic Indigenismo period, is examined centering on his early works. Third, Guayasamín’s position on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Ecuador is explor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works in the Huacayñán series commissioned by the state with the intention of resolving racial divisions and social conflicts. Fourth, it examines the insights of Guayasamín into the future and identity of Ecuador, focusing on <Ecuador ‘Moving Mural’>(1952) at the peak of the Huacayñán s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