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nspired by Cathy Caruth’s concept of traumatic awakening and survival, this paper examines Lee Joon-ik’s Anarchist from Colony [박열] (2017) and historicizes the film as part of the national imagination of cultural reconstruction and recreation of national independence and sovereignty in postcolonial Korea. It reads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al texts about the independence fighters such as Park Yeol as repetition compulsion on a national scale. As a response to the enigma of survival that resulted from abrupt liberation, there is a desire in Koreans to reassure themselves that independence from Japan and the recovery of their national sovereignty were a product of their own efforts. The current generation of Koreans, who have not experienced colonialism firsthand, must indirectly suffer the pain of the previous generation, just like the father in Freud’s dream of the burning child. The unchangeability of the past results in collective trauma through guilt and strengthens the repetition compulsion that is manifested in the nation’s commemoration of independence movements. The paper also argues that the film successfully extends the concept of “the people” [민족] to encompass not only the Korean race but also anyone who shares their anti-imperial sentiments. Park’s anarchism aids this depiction by slightly distancing him from his colonized status and allowing him to be more easily grouped with like-minded Japanese people. The film’s genre as a legal drama is effective in depicting Park’s fight not just as a typical anti-colonial protest but as a larger fight for freedom and truth. The universality of these values ensures that his fight is difficult to find fault with, which in turn aids the film’s original purpose of depicting him as an important national figure who committed his life to the cause of national independence.


캐시 카루스(Cathy Caruth)의 트라우마적 각성과 생존 개념에서 영감을 받은 이 논문은 이준익 감독의 영화 <박열>(2017)을 문화 재건과 민족적 독립 및 자주권 재현이라는 민족적 상상의 일부로 역사화한다. 또한 더 넓은 의미에서 박열과 같은 독립투사에 대한 문화적 텍스트의 생산과 소비를 국가적 규모의 반복적 강박(repetition compulsion)으로 읽는다. 갑작스레 맞은 해방이 불러온 생존의 수수께끼(enigma of survival)에 대한 대응으로 한국인은 일본으로부터의 독립과 국권 회복이 스스로의 노력의 산물임을 자신에게 반복해서 인지시켜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식민지 생활을 직접 겪지 못한 세대의 한국인들은 마치 프로이트의 ‘불타는 아들 꿈’을 꾸는 아버지처럼 전 세대의 고통을 간접 체험할 수밖에 없고, 과거를 바꿀 수 없다는 사실은 죄책감을 통해 일종의 트라우마로 남아 반복적 강박을 강화한다. 매년 삼일절을 기념하고 <박열>과 같은 영화를 만들어내는 것 모두 이러한 반복적 강박의 산물로 읽을 수 있다. <박열>은 ‘민족’의 개념을 한국인 뿐 아니라 반제국주의 감정을 공유하는 모든 사람들을 포괄하도록 확장시킨다. 박열의 아나키즘은 그를 식민 지배를 받는 조선인이란 신분에서 일부 벗어나 같은 생각을 가진 그 어떤 배경의 사람과도 함께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준다. 또한 영화가 속한 법조 드라마 장르는 박열의 투쟁을 전형적인 반식민지적 투쟁이 아니라 자유와 진실을 위한 더 거대하고 현대적인 투쟁으로 묘사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민주주의적 가치들의 보편성은 현대 관객으로부터 즉각적인 동조를 얻는데 성공적이고, 결국 그를 대한독립이라는 대의에 일생을 바친 중요한 국가적 인물로 묘사하려는 영화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일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