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소득수준과 연령, 기간, 코호트에 따른 평균 만성질환 보유 수의 추세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개인 및 국가 전체적으로 만성질환의 질병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제5기부터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평균 만성질환 보유 수의 건강불평등을 파악하고자 연령, 기간, 코호트와 더불어 소득수준을 모두 고려한 연령-기간-코호트-소득 분석(Age-Period-Cohort-Income analysis)을 시행하였다. 분석대상은 전체 대상자 72,751명 중 미성년자 및 결측치 19,559명을 제외한 총 53,192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연령효과는 연령대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기간효과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반면, 코호트 효과는 과거 코호트에 비해 최근 코호트로 갈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소득효과 또한 저소득에 비해 고소득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결론: 연령-기간-코호트-소득(APCI) 분석결과, 만성질환 유병에 대한 각 효과의 추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령-기간-출생 코호트와 더불어 소득수준을 함께 고려한 최초의 연구로써 복합만성질환 및 평균 만성질환 보유 수에 대한 이해를 돕고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제고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health inequality of multiple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ge, period, and cohort in Korean adults. In addition,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policies to reduce the burden of chronic diseases on individuals and nation as a whole. Methods: In this study, Age-Period-Cohort-Income(APCI) analysis was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age, period, cohort, as well as household income, to identify health inequalities using data from the 5th to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the 72,751 subjects, a total of 53,192 subjects, excluding minors and missing data of 19,559,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The age effect showed a trend of increasing with age, and the period effect also showed a trend of increasing with time. On the other hand, the cohort effect showed a decreasing trend toward the recent cohort compared to the past cohort, and the income effect also showed a decreasing trend toward higher income compared to low income. Conclusions: As a result of APCI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end of each effect o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hat considers household income with the existing age, period, birth cohort. It helps to understand multimorbidity and the average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enhance the need to establish policies to resolve health inequa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