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조모임에 참여한 자살유족의 실제 경험과 변화 양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자살유족 자조모임의 활성화를 지원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9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에서 진행된 자작나무 마음이음1080 캠프에 참여한 유족 35명을 대상으로 한다. 캠프 참가자들은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6개의 자조모임으로 나뉘어 약 1시간 동안 자유롭게 그룹 토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6개의 자조모임을 녹음하여 전사한 텍스트 자료를 질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의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코드북을 바탕으로 최종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유족의 자조모임은 자신의 경험을 풀어내는 자기 고백과 그를 이어주는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졌다. 자조모임을 통해 자살유족은 가족의 자살로 인한 어려움을 말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른 자살유족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를 맺고, 삶의 의지를 다지게 되었다. 나아가, 서로 조언과 도움을 주고받으며 타인과 사회로까지 자조모임 참여 경험을 확장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때,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자살유족이 경험하는 어려움에는 차이가 존재하기에, 고인별 자조모임의 유용성이 언급되기도 하였다. 결론: 자조모임은 자살유족의 자살예방 및 일상으로의 회복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자조모임 접근성 확대, 고인별 모임 특성에 따른 지지 전략 수립, 다른 유족을 도울 기회 마련과 같은 세 가지 차원에서 자조모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llect the essential data required to support the activation of the self-help groups by analyzing the actual experiences and changes of suicide-bereaved family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m.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5 bereaved families in 2019 who participated in the Jajaknamu Maumeum1080 camp of the Seoul Suicide Prevention Center. Participants at the camp were divided into six self-help groups based on their relationship to the deceased and engaged in approximately an hour of open discussion. The textual data generated by recording and transcribing six group discussions was analyzed using qualitative data analysis consisting of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confirmation. The final result was described based on the codebook derived from this procedure. Result: Self-confession that explained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that connected them made up the self-help group. The participants discussed the challenges brought on by family suicide, and built relationships and strengthened their will to live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s. Additionally, the self-help group participation was expanded to include others and society at large by exchanging aid and advice. Because the challenges varied by th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the usefulness of self-help groups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was brought up. Conclusion: Self-help groups assist prevent suicide and help suicide-bereaved families recover to their daily lives. Making self-help groups more accessible, building support systems adapted to each deceased group, and offering self-group participants the chance to help other bereaved families are three areas for improving self-help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