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3대(代)의 기행일기 『서행록(西行錄)』의 여행 글쓰기를 살펴보았다. 저자별 여행 글쓰기의 개성적・특징적인 점에 초점을 맞추어 『서행록』을 파악한다면, 문학으로서 『서행록』의 면모와 가치가 드러날 수 있을 것이라 보았기 때문이다. 송정악은 여행 중 위기 상황이나 특정 경험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이로 인해당대의 상황을 생생하게 볼 수 있었다. 송지행은 금강산・묘향산 등에 대한 유람을 적극적・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로 인해 조선후기 유람 여행까지 구체적으로 볼 수있게 되었다. 송석년은 도입부에서 여행 이유를 설명하여 독자 이해를 도왔다. 또 한시를 지속적으로 삽입하여, 3명의 저자 중 가장 많은 134수에 이르는 한시를 볼 수 있게 하였다. 3명의 저자는 선조 현양을 위한 여행을 일기로 남겼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위와 같이 글쓰기에 있어 특징적인 면모도 가지고 있었다. 기행일기인 『서행록』은 일기문학, 기행문학에 속한다. 『서행록』은 3대의 일기가 하나로 편찬되어 있고, 개성적인 글쓰기로 저자별 특징도 담고 있는 특별한 일기문학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3대가 약 100년간, 36차례 떠난 여행을 기록하여 조선후기 기행문학을 풍성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또한 『서행록』은 한시, 축문 등 문학작품을 수록하고 있으며, 창작 배경을 같이 볼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Seohaengnok(西行錄)(Lit. West Travel Record), a travelogue written by a family over three generations in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travel writing. This is because it is believed that a study on Seohaengnok with focus on individualistic and characteristic points of travel writing by author could reveal the various aspects and values of Seohaengnok as literature. Song Jeong-ak specifically described crisis situations or specific experiences while traveling. This made it possible to guess the then situations vividly. Song Ji-haeng actively and systematically described excursions to Mt. Geumgang and Mt. Myohyang. This made it possible to see in detail even the excursion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Song Seok-nyeon helped readers understand by explaining the reason for trips in the introduction. He also continued to insert Sino-Korean poems, making it possible to see 134 Sino-Korean poems, the largest of the three authors. The three authors had in common that they left journals of travel to promote their forefathers, but they also had characteristic aspects in writing as above. A travel journal, Seohaengnok belongs to the journal literature and travel literature. Seohaengnok is one single compilation of diaries written by a family over three generation. As an individualistic writing, it also ha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uthor. As such, Seohaengnok is significant as special journal literature. And, it also adds significance to the travel literature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Dynasty as a journal about 36-time travels, written by a family over three generations for about 100 years, enriches the travel literature of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Seohaengnok contains Sino-Korean poems and prayer messages, among other literary works, and offers a significance of being able to take a glimpse of the background of creating the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