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90년대 중반의 이른바 ‘공간적 전환(spacial turn)’ 이후 사회현상을 설명하는데 있어 시・공간 압축, 초국가공간, 사이공간, 생활공간, 가상공간 등 다양한 공간적 개념이나 은유가 넘쳐나고 있다. 이들 공간적 개념이나 은유들은 대부분 기존의 국민국가라는 틀을 뒤흔드는 것이라는 점에서, 공간적 전환은 국민국가라는 정치공간의 유효성에 대한 도전이자 문제제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글은 공간정치의 관점에서 근대적 공간인식의 특성과, 그것이 국민국가라는 특유의 정치공간으로 제도화되는 과정과 의미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구체적으로는 대의민주주의, 시민권, 국가적 공공성을 대표적인 제도화의 형태로서 제시하고, 이들 제도가 국민국가의 공간적 특성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


Since the so-called “spatial-turn” in the mid-1990s, various spatial concepts and metaphors such as time-space compression, transnational space, between space, living space, and virtual space are overflowing in explaining social phenomena. In that most of these spatial concepts or metaphors shake the existing framework of the nation-state, spatial-turn can be said to be a challenge and criticism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tical space of the nation-state.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patial awareness from the point of view of spatial politics, and the process and meaning of its institutionalization as a unique political space of the nation-state. Specifically, representative democracy, citizenship, and national publicness are presented as representative form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how these institutions are related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state is analy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