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부모가 겪는 문화 갈등과 한국 문화 부적응에 의해 유발된 자녀들 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매개변인(학교생활, 대인관계 및 학교폭력 피해 경험)을 통해 자녀들의 행동적 반응인 비행과 심리적 반응(우울, 자아 탄력성 등)에 미치는 영향 및 경로를 탐구적 모델 (exploratory model)을 통해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의 3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SEM)으로 모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 문화가정 부모의 문화 부적응은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자녀의 스트레 스 지수가 높을수록 학교생활 부적응, 대인관계 부적응 및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가능성이 높았다. 학교생활 부적응, 대인관계 부적응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은 각각 비행과 심리적 반응에 정적 효과 를 가지고 있어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나타났지만, 비행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 등을 서술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ultural maladaptation of parents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leads to behavioral responses (delinquency/crime) and internal responses (depression, resilience,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In doing so, an exploratory model is created to account for different paths from parents’ strain to delinquency and internal responses through strain and three mediating variables (school life, personal relations, and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The current study analyzes the data drawn from the 3rd year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colle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of SEM show that the cultural maladaptation of parents is positively related to acculturative stress in adolescents. The acculturative stress among adolescents is positively related to school life, personal relations, and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respectively. Acculturative stress ha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internal responses, through each of the three mediating factors, while it has only indirect effects on internal responses, through each of the three mediating factor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