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에서 집합효율성과 범죄두려움의 관계가 비선형 관계가 나타나는 것에 대한 깊 이 있는 검토를 위해 진행되었다. 한국에서는 서구와 달리 집합효율성과 범죄두려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정적이거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러한 현상이 두 변수의 관계가 선형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가정을 세워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범죄피해조사 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곡선추정 분석을 실행하였고, 집합효율성과 범 죄두려움의 관계는 직선일 때보다 이차곡선일 때 모형의 설명력이나 F값이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비선형 관계를 면밀히 살펴보았는데,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통 해 집단을 구분하였고, ANOVA를 통해 각 집단 간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을 이용하여 각 변인이 어느 집단으로 속할 확률이 높은지와 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집합효율성과 범죄두려움의 관계가 비선형으로 나타나는 것에 대한 한국적 맥락의 시사점 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fear of crime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Contrary to western countries where the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on fear of crime is negative and significant, it appears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two variables are positive or not significant in South Korea. This study attempted to test that this uniqu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fear of crime is non-linear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We used ‘Korea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 of 2018’ colle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The curve estimation test result revealed that F-value was increase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fear of crime was non-linear(a curve of secondary degree) than it was linear. Additional tests such as Latent Profile Analysis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to classify groups an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ose group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possibility of variables in groups along with the effects of those variabl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fear of crime in the context of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