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교사,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그릿,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의 3차년도(2020년) 중학교 1학년 패널자료 2,320명의 응답 자료에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지지는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 지지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그릿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이 지각한 친구 지지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그릿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학교적응 수준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veals, from a middle school student perspective, the social support from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s well a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chool adaptation and grit. Moreover, it explore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school adapt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Wave 3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data set (9th grade, N = 2,320),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chool adaptation. Second,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Third, the effect of teacher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school adapt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grit. Fourth, the support of friend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but in terms of impact on school adaptation, it was found that grit had a fully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support and countermeasures are presented to improve the level of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