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10-12세기 중국과 우리나라의 동과 동제공예품 관련 문헌을 검토해 중국 북송과 요로 수출된 고려산 동과 공예품의 종류, 중국 내 인식, 소비 양상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동과 동제 공예품의 중국 수출은 이전 왕조인 통일신라시대부터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었고, 고려시대에는 ‘고 려동(高麗銅)’ 이라는 브랜드화 된 명칭이 중국에 통용될 정도로 높은 품질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아 많은 교역이 전개되었다. 중국은 고려에서 동광석(銅石)과 황동, 유동, 적동 등 동합금재와 동제공예품을 수입했다. 중국 문헌에 등장하는 고려산 동과 공예품 관련 내용에는 모두 고려의 산품(産品)으로 동이 명시되어 있었다. 또 ‘고려동(高麗銅)’이라는 브랜드화 된 명칭은 중국에 유통된 양질의 고려산 동과 동합금 을 중국 내에서 지칭한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으로는 각기 다른 문헌에서 중복적으로등장하는 기물명을 통해 ‘고려동’이 붙은 대표적인 몇 가지 기종을 추릴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에 유통된 고려산 동제공예품의 형태와 제작기법, 소비상을 일부 추론할 수 있었다. 하지만 자료 부족으로 인한 관련 유물을 구체적으로 확정할 수 없었던 점은 본 연구의 한계로 남았다. 앞으로 추가 연구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강, 분석해 동아시아 금속공예 연구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This thesis examines the records related to copper and copper crafts in China and Korea in the 10th and 12th centuries and analyzes the types of copper minerals and crafts from Goryeo exported to China, and China's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China imported copper minerals, brass, red copper, and copper alloy materials and crafts from Goryeo. It was clarified that all Goryeo copper imported and crafts made from copper in Chinese records were produced in Goryeo.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name that became the brand 'Goryeo- made copper(高麗銅)' was a name for copper alloyed with high-quality Goryeo-made copper minerals distributed in China within China. In addition, through the names of objects that are repeated in different sources, we were able to extract some representative objects that were named after 'Goryeosan- dong'.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consumption patterns of Goryeo copper crafts distributed in China and their production techniques. However, the lack of data and the inability to confirm the related artifacts in detail remained a limitation of this study. In the future, we will try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metal crafts in East Asia by reinforcing and analyzing the missing parts through additional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