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고통스러운 사건 경험 이후 개인이 사건에 대해 가지는 의미와 삶의 의미를 통합하였는지를 측정하는 한국판 트라우마와 사별 경험에 대한 개인의 의미통합 척도(Korean version of Integration of Stressful Life Experience Scale; K-ISLES)를 타당화 하였다. 고통스러운 사건을 트라우마 사건과 가까운 사람과의 사별 경험으로 나누어서 트라우마 사건을 경험한 성인 655명과 가까운 사람과의 사별을 경험한 성인 1,219명을 더한 총, 1,87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후 트라우마 사건 경험집단과 사별 경험집단에 대한 K-ISLES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우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1요인 구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 일치도, 오메가 계수를 검증한 결과 모두 높은 신뢰도를 보여 K-ISLES가 신뢰로운 척도임을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K-ISLES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K-ISLES와 ‘의미 만들기와 이점 찾기’, ‘사건 중심성 척도’, ‘세상에 대한 신념 척도’, ‘우울증 선별도구’, ‘범불안장애 척도’, ‘간이정신진단 검사-18’ 척도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고통스러운 사건의 의미와 삶의 의미의 통합과 관련된 후속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ntegration of Stressful Life Experience Scale (K-ISLES) in Korea.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874 Korean adults (655 with traumatic event experiences and 1,219 with bereavement experi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one-factor structure. Second, K-ISLES showed robust internal consistency and Omega reliability. Third, to confirm the validity of K-ISLES, correlation analysis with ‘Sense-Making’, ‘Benefit-Finding’, ‘CES’, ‘World Assumptions Scale’, ‘BSI-18’, ‘SCL-10-R’, and ‘PG-13’ was perform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K-ISLES has adequate psychometric properties for measuring the meaning of Korean adults exposed to traumatic events and bereavement.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