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버클리대 소장 『한정록』(이하 ‘버클리본’)은 고령박씨 가의 박춘영(朴春榮, 1711~ 1786) 및 그 주변 인물에 의해 필사되었다. 버클리본은 기왕에 알려졌던 『한정록』과는 수록 내용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첫째, 서지적 측면에서 버클리본은 필사자와 필사 시기가 명시되어 있는 유일한 이본이며, 『한정록』내용에 대한 독자의 소감을 수록한 점, 각 필사자가 어느 부분을 필사했는지 명기한 점에서도 유일한 이본이다. 버클리본에 수록된 평어는 1책 전반부에 한정된 적은 분량이긴 하나 『한정록』 내용에 대한 독자의 미묘한 정서를 보여준다. 또한 각 필사자가 어떤 부분을 썼는지 표시한 첨지는 가문 내 독자로 하여금 선대 필사자의 인격성에 접하게 하는 매개가 되고 있다. 둘째, 버클리본을 현전 『한정록』 이본들과 비교해보면 통행본 계통의 이본과 버클리본 계통의 이본 두 계열로 대별할 수 있을 만큼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된다. 이러한 이본 검토의 과정에서 단국대 소장본 『한정록』과 하버드 옌칭본 『한정록』은 합쳐서 한 질을 이룰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추가로 지적하였다. 이 두 종 이본은 버클리본 계통의 모본을 중심으로 필사한 내용에 통행본 계통의 내용을 각 권말에 추가하고 있어서 『한정록』에 두 계통이 병존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해 준다.


This paper extends the scholarship on Hanjŏngnok copies with the analysis of a Hanjŏngnok manuscript copy held by the Asami Library of U.C. Berkeley University (hereafter the “Berkeley Hanjŏngnok”),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other copies. In the absence of access to the “Berkeley Hanjŏngnok,” previous research suggested that the Hanjŏngnok manuscript held by Munkyŏng- saejae Museum (hereafter the “MK Hanjŏngnok”), which includes a relatively unedited chapter, is one of the earlier manuscripts. However, reexamination of the “MK Hanjŏngnok” reveals that the copy is closer to the familiar version of Hanjŏngnok. By comparing the “Berkeley Hanjŏngnok” to all the other copies currently available, this paper highlights two aspects of “Berkeley Hanjŏngnok”: First, the “Berkeley Hanjŏngnok” is the only copy that indicates by whom and when it was copied, and it contains several comments on the content. Second, the “Berkeley Hanjŏngnok” contains specific passages absent from the familiar version, and the sequence of contents is drast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amiliar version. Several other manuscripts accord with the “Berkeley Hanjŏngnok” in contents and sequence, indicating that the “Berkeley Hanjŏngnok” and these similar manuscripts could be grouped distinctly from the familiar version. From these findings,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Berkeley Hanjŏngnok” merits further scholarly attention regarding the scribal culture of the late Chosŏn period as well as textual research on Hanjŏngnok manuscrip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