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배삼식 희곡 「화전가」에 나타난 이질언어성을 밝히는 데 있다. 「화전가」는 안동의 지역어만으로 대사를 구성하여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언어의 혼종성과 타자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이질언어를 병치하는 전략적인 장치를 활용하고 있다. 「화전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병치는 두 층위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 하나는 영어를 활용하는 장면을 효과적으로 삽입하여 한국어와 영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이질언어성(polyglossia)을 드러내는 층위이며, 다른 하나는 역사적⋅문화적으로 잊혔거나 잊힐 위기에 처한 언어를 활용하는 장면을 효과적으로 삽입하여 한국어 내에서 발생하는 이질언어성(heteroglossia)을 드러내는 층위이다. 전자는 주로 공시적인 맥락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후자는 주로 통시적인 맥락에서 발생하고 있다. 전자의 이질언어성은 안동 지역어-영어의 서로 다른 층위를 병치함으로써 언어활동이 다양한 말들이 서로 교차하는 상호작용의 산물이라는 점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후자의 이질언어성은 시대의 변화를 담지하고 있는 다양한 층위를 병치함으로써 서로 중첩하는 언어활동의 다성적 세계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화전가」는 표준어-지역어의 체계가 단일한 하나의 중심을 갖는 위계적 종속 관계가 아니라 서로 차이를 지니는 다원적 관계라는 사실을 환기하는 작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eteroglossia found in Hwajeonga written by Bae Sam-sik.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work by composing lines only with the Andong district dialects, the author of Hwajeonga adopts a strategic device to juxtapose heterogenous languages in order to reveal hybridity in language and otherness effectively. Juxtaposition found in Hwajeonga is made in two levels. One is the level in which the scenes using English are inserted effectively to show polyglossia that occurs between Korean and English, and the other is the level in which the scenes using languages either historically or culturally forgotten or almost in the risk of being lost are inserted effectively to reveal heteroglossia that appears in Korean. The former exists mainly in the synchronic context while the latter is mostly present in the diachronic context. With regard to polyglossia in the former, different levels of Andong’s dialects and English are juxtaposed to show that linguistic activity is the product of interaction in which diverse languages come across. Concerning heteroglossia in the latter, various levels that embrace the changes of time are juxtaposed to reveal the polyphonic world of linguistic activities that are overlapped with one another. Hwajeonga reminds us of the fact that the standard language-local language system is not a hierarchical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with one single center, but a pluralistic relationship with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