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녹문 임성주의 성리학 체계를 그의 공부론, 특히 “복기초”라는 명제를꼭짓점으로 하여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녹문은 “리기동실(理氣同實)” “심성일치(心性一致)”를 주장했고 그래서 많은 연구자가 주로 이 명제들을 분석했다. 그러나 성리학, 유학이 성인이 되고자 하는 목표를 지향하는 학문이라면 그것의 방법론인 수양론을 살피지 않을 수 없다. 녹문은 “복기초”를 중심으로 수양론의 체계를 건립했다. 그런데 그는 이 명제를 또한 “복기지본체(復氣之本體)”, “복기심체(復 其心體)”라고 표현했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녹문은 사람의 근본이 기의 본래 형상 그리고 본심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먼저 “담일청허지기(湛一淸虛之氣)”라는 본체가 천지 만물에 공통으로 부여되었고이것이 모든 존재의 최종근거이며, 그중에서도 정통(正通)한 기질을 부여받은 인간은 본체의 담일(湛一)을 실현할 수 있는 심체를 성인과 범인 구분 없이 부여받았음을 확인했다. 그런 다음 그 심체의 본래 면목을 회복하는 것이 수양 공부의 본질이며, 그 구체적인 방법은 일상생활에서 경건한 태도와 마음의 허령(虛靈)함을 견지하려는 경(敬)임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rganize the system of Neo-Confucianism by Im Seong-ju, with his cultivation theory, especially the proposition “Restore the beginning” as the vertex. Nokmun insisted that “Li (理) and Qi (氣) are the same reality” and “Mind (心) and Nature (性) are the same”, so many researchers mainly analyzed these propositions. However, if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ism are studies aiming at becoming a saint, we cannot help but consider the methodology, or the theory of cultivation. Nokmun established a system of cultivation based on “Restore the beginning”. However, he also expressed this proposition as “Restore the original shape of the Qi” and “Restore the heart/mind itself”. As we can see from this, Nokmun thought that the fundamentals of people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original shape of Qi and true heart/mind. Based on this, this paper first confirmed that the fundamental itself called “clear and one, clean and empty Qi” was given to all beings in common, and this is the final basis for all beings, and among them, human beings who were given the right temperament were given a heart/mind that could realize the “clear one (湛一)” of the fundamental itself without distinction between a saint and a normal person. And then it was revealed that it is the essence of the cultivation to restore the original aspect of the fundamental itself, and the specific method was to maintain a prudent attitude and emptiness of heart/mind in dail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