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주된 일자리 조기이탈의 급격한 증가는 최근 한국 노동시장에 나타난 중요한 변화 가운데 하나이다. 이러한 현상은 특정 통계에서 제한적으로만 관찰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엄밀하게 측정하더라도 마찬가지로 관찰되며, 자료(data)를 달리하더라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이는 인구구성 변화 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조기이탈 위험 자체의 증가에 의한 것이며, 근본적으로는 정년 법제화 및 예상치 못한 고령화에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된 일자리 이탈자의 장기추적관찰을 통해 본고는 이들의 이후 재취업 가능성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재취업 시 고용의 질도 악화되어 최저임금 미만 근로자 비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해당 가구의 소득분배 상태를 악화시키고 빈곤 가능성을 높이고 있었다. 실제로 주된 일자리 이탈 이후 빈곤 전락 결정요인으로 주된 일자리 근속기간과 이탈 당시 저소득 가구 여부 그리고 가구내 취업자 비율의 변화가 특히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주된 일자리 조기이탈은 근속기간을 단축시켜 소속 가구의 빈곤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 이는 정년 법제화(legislation)가 조기퇴직의 증가뿐만 아니라 고령빈곤의 증가와도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The rapid increase in the early separation from the main job is one of the important changes in the recent Korean labor market. This phenomenon is not observed only in certain statistics, but also observed even when measured more precisely, and appears similarly even when data are different. This is not due to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the population, but to an increase in the risk of early separation itself, and fundamentally, it seems to be mainly due to the legislation of retirement age and unexpected population aging at the time of employment contract. Through the long-term follow-up of the main job retirees, this paper found that the possibility of re-employment has decreased since then, and the quality of employment has deteriorated when re-employed,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workers below the minimum wage. This worsened the income distribution of these households and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poverty. As the determinants of poverty after the main job separation, it was found that the duration of the main job, whether low-income households at the time of the separation, and the change in the proportion of employed people in the household were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end, the increase in the early separation from the main job shortens the duration of employment,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poverty in the household. This suggests that the legislation for mandatory retirement age is likely to be related not only to the increase in early retirement but also to the rise in elderly pove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