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740년대 전후 자료인 東大寺圖書館藏『大方廣佛花嚴經』권12~20 본문에 기입되어 있는 한자음 관련 角筆點들을 중심으로 고대 한국한자음에 대한 일련의 고찰을 마무리하고자 한 것이다. 2장에서는 종류별 한자음 관련 각필점에 대한 개관 및 그 의의를 정리하였다. 2.1. 字音注 부분에서는 「寂」, 「瞻」, 「蔔」, 「憂」 등 6자 8례를 대상으로 8세기 초엽 신라한자음의 重層性(新音 vs. 舊音/ 正格音 vs. 變格音)의 양상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2.2. 聲點 부분에서는 平聲字(10자 13례), 上聲字(5자 5례), 去聲字(8자 9례), 入聲字(4자 5례)를 대상으로, 2.3. 梵唄譜 부분에서는 平聲字(58자 78례), 上聲字(32자 40례), 去聲字(38자 52례), 入聲字(26자 36례)를 대상으로 초분절소(=성조) 및 관련 운율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2.4. 音借 表記 부분에서는 字訓(21종 66례), 문법형태(9종 142례), 末音添記(3종 8례)를 대상으로 한자음 연구 자료로서의 가능성 여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의 논의를 종합하여 각 종류별 각필점들이 지닐 수 있는 의의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①자음주(6자 8례) -8세기 초엽 고대 한국한자음의 重層性(신음 vs. 구음, 정격음 vs. 변격음)의 존재 및 그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②성점(27자 32례) 및 범패보(154자 206례) -신․고형 성조 표시법의 공존 및 입증 가능성 확인-초분절소: 평성․거성 대응점만 존재⇒ 비성조 LH형 언어일 가능성 확인-운율 현상: 上聲의 去聲化(强)⇒ 上去無別의 단초, 入聲의 去聲化(强) ③음차_자훈․문법형태․말음첨기-분절음의 일치에 有意味⇒ 한자음 연구 자료로서의 가능성 확인



本文以740年左右的資料, 即東大寺圖書館館藏 ≪大方廣佛華嚴經≫ 第12~20卷中所記載的與漢字音相關的角筆點爲例, 繼續對古代韓國漢字音進行考察。 第二章總結了與不同種類漢字音相關的角筆點的槪況及其意義。2.1.字音註部分以「寂」, 「瞻」, 「蔔」, 「憂」等6字8例爲對象, 聚焦8世紀初葉新羅漢字音的重層性(新音vs.舊音/正格音vs.變格音)情況進行了討論。2.2.聲點部分以平聲字(10字13例), 上聲字(5字5例), 去聲字(8字9例), 入聲字(4字5例)爲對象; 2.3.梵唄譜部分以平聲字(58字78例), 上聲字(32字40例), 去聲字(38字52例), 入聲字(26字36例)爲對象; 將重點放在超分節素(=聲調)以及關聯現象上進行了討論。2.4.音借標記部分以字訓(21種66例), 語法形態(9種142例), 末音添記(3種8例)爲中心, 重點討論了其作爲漢字音硏究資料的可能性。 第三章綜合了第二章的內容, 總結了各類角筆點所具有的意義. 並以此作爲本文的結論。具體內容如下: ①字音注(6字8例) -可以確認8世紀初叶新羅漢字音重層性(新音vs.舊音/ 正格音vs.變格音)的存在及其具體情況, 意義重大 ②聲點(27字32例)以及梵唄譜(154字206例) -確認新·古型聲調標記法共存 -作爲超分節素平聲․去聲的存在:確認非聲調LH型語言的可能性有 -韻律現象:上聲․入聲的去聲化可能性大 ③音借_字訓․語法形態․末音添記 -分節音的一致具有意義:作爲漢字音(分節音)硏究資料的可能性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