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하여 10년(2010-2019년) 동안의 저임금 상태이동을 동태적 다항로짓 임의효과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관측 이질성과 내생성을 통제한 분석에서 저임금 및 미취업의 상태의존성과 저임금 디딤돌 효과가 존재하였고,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상대적 차이가 존재하였다. 반면, 저임금-미취업 순환은 남성에서만 발견되었다. 전반적으로 2010년 이후 저임금 및 미취업 상태의 노동시장 전망이 개선되지 못했지만, 미취업 보다는 저임금이 더 높은 임금으로 이동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 및 연령별 차이를 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저임금 상태의존성이 높고 저임금에서 비저임금으로 상향 이동가능성은 낮지만, 2015년 이후 30대 이하 남성은 저임금에서 비저임금으로 상향 이동가능성은 낮아지고 미취업 가능성이 높아진 반면, 30대 이하 여성은 저임금의 상향 이동가능성이 높아지고 미취업 가능성이 낮아져, 최근 노동시장 변화는 30대 이하 여성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low-wage mobility for 10 years(2010-2019) using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and dynamic multinomial logit random effect model. The results show that both state-dependence and stepping stone effects by low wage are present. And, there were relativ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low pay-no pay cycle was found only in men. Overall, since 2010, the future labor market outlook for low-wage worker and unemployed has not improved, but it is analyzed that low-wage workers are more favorable to moving to higher wages than unemployed. Analysis by gender and age shows that women are more low-wage state-dependence than men, and are less likely to move upward from low-wage to high wage. However, after 2015, it was analyzed that low-wage men under the age of 30s were less likely to move upward and were more likely to be unemployed, whereas low-wage women under the age of 30s were more likely to move upward and less likely to be unemployed. Recent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re analyz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omen under the age of 3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