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비대면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비대면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한 대학생 4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t-test, χ2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비대면 사회봉사 필요성에 대해 상당수 대학생들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비대면 사회봉사에 대해 상당수 대학생들이 만족하고 있으며, 자기 계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라 비대면 사회봉사의 필요성 및 만족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비대면 사회봉사에 참여하게 된 동기에 따라 봉사활동의 지속의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대학생의 비대면 사회봉사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연구로 대학의 비대면 사회봉사가 활성화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This study targeted 422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and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hi square test were conducted. First, a considerable number of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Second, many university students are satisfied with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and it was helpful for self-development.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cessity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ccording to gender. Four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llingness to continue volunteer work according to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This study is thought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activating non-face-to-face volunteer activities at univers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