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적 차원에서 번아웃에 대하여 이해하고 개인의 일상과 삶을 회복하고 지원하는 방안으로써 자기돌봄의 일상화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번아웃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고 번아웃 회복과 예방 방안을 탐색하였다. 또한 번아웃에 대한 개입으로써 자기돌봄의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였다. 연구 내용: 개인적 차원에서 번아웃 특성으로 나타나는 자기상실을 이해하고 번아웃에 대하여 의도적 개입의 필요성을 밝혔다. 번아웃 개입으로써 제시한 자기돌봄 일상화의 핵심요소로써 자기수용과 자기친절의 개념을 설명하였다. 결론 및 제언: 번아웃 개입 방안으로써 자기돌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그 핵심요소로 자기수용과 자기친절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번아웃 중재 연구 이론적 토대가 된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한 자기돌봄 일상화 프로그램의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I aimed to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research of using ‘self-care’ as an intervention against burnout by providing basic concept of ‘self-care’ which is candidate intervention of the burnout. The concept of the burnout and self-care has understood and the probability of self-care as an intervention for the burnout has analized by reviewing prior studies and literatures. Necessity of self-care as an active intervention for the burnout has deduced under the understandings about the cause and pathway of burnout. Self-acceptance and self-kindness were deduced as an key concept of the self care which leads to the healthy daily life. The author anticipate the key concept of self-acceptance and self-kindness which works main roles in the self-care process for the recovery from the burnout, will be worthy at building the basement of self-care routinization, based on the further study based on the conc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