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성과제고를 위해 중앙아시아 시장을 살펴보고 활용가능한 진출방안을 모색하는데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자동차 시장, 섬유기계 시장 및 통신기기 시장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국가현황을 탐색하였다. 또한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잠재수요를 살펴본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 시장 진출방안으로 중앙아시아 정부의 육성 정책에 따른 현지상황을 활용한 진입, SWOT 분석에서 강점요인과 약점요인을 고려한 시장탐색 진입, 기회요인을 활용한장기투자형 진입 그리고 위기요인을 통한 장기보완형 진입을 제시하였다. 둘째, 섬유기계 시장 진입방안으로중앙아시아 면화생산의 증가에 따른 상황맞춤형 진입, SWOT 분석에서 강점요인과 약점요인을 고려한 시장잠식형 진입 그리고 기회요인을 활용한 장기투자형 진입을 제시하였다. 셋째, 통신기기 시장 진입방안으로통신산업 인프라 구축을 위한 중앙아시아의 적극적 정책방향에 따른 시장적응형 진입, SWOT 분석에서 강점요인과 약점요인을 고려한 시장잠식형 진입, 기회요인과 위기요인을 활용한 장기지향형 진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아시아 국가 중 대표적인 튀르키예,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함으로써 특정 시장에 대한 현지 진출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발달된 기술역량과 전문화된 인적자원을 경쟁력으로 가지고 있는 우리 입장에서 성장 동반자로서의중앙아시아를 고려해 볼 수 있는 단초를 제시하고 있다. 셋째, 중소기업의 새로운 먹거리 시장으로서 중앙아시아 시장이 왜 중요한가를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몇 가지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먼저 중앙아시아 관련 자료가 부족하고, 정량적인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수년동안 수집한 자료를 정리하고자 하였음에도 지엽적인 해석이 될 가능성이 남아있다. 두 번째는 중소기업의 성격을 일반화하는 것이어렵다는 점이다. 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38개 업체와 인터뷰를 하였음에도 각각의 시장에 특화된제품을 가진 다수의 업체가 남아있으며, 개별 중소기업이 가지고 있는 역량을 파악하기에는 잠재수요 조사는다소 무리가 있는 방법이었다. 이러한 한계는 향후 연구를 통해 보완할 수 있도록 하겠다.


Researc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useful ways to enter the Central Asian marke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MEs. Research Methods: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Central Asian countries, focusing on the automobile market, textile machinery market, and communication device market. In addition, implications were derived after examining the potential demand for SMEs to enter the overseas market. Results in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way to enter the automobile market, entry using the local situation, entry into the market search, entry into the long-term investment type, and entry into the long-term supplementary type were suggested. Second, context-sensitive entry, market erosion entry, and long-term investment entry were suggested as ways to enter the textile machinery market. Third, as a way to enter the telecommunication device market, a market adaptation type entry, a market erosion type entry, and a long-term-oriented entry were suggested. Research Conclusion: The policy implications presen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in-depth exploration and analysis of representative Turkey, Kazakhstan, and Uzbekistan among Central Asian countries, a plan to enter a specific market was presented. Second, it presents the basis for considering Central Asia as a growth partner from the standpoint of Korea, which has developed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specialized human resources as competitiveness. Third, it suggested why the Central Asian market is important as a new food market for SMEs. Suggestions in Researc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several ways. First of all, there is a lack of data related to Central Asia, and it is difficult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Although it tried to organize the data collected for year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could be a peripheral interpretation. The second is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nature of SMEs. Despite interview with 38 companies located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 number of companies with products specialized in each market remained, and the potential demand survey was somewhat unreasonable to identify the capabilities of individual S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