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스마트폰 과의존을 매개로 학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가와 이 매개효과를 메타인지가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소재 고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 290명(남 142명, 여 148명)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모델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높고 학업수행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타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수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학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학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메타인지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고등학생의 학업수행 증진을 위한 부모 대상의 교육과 스마트폰 과의존을 완화, 메타인지를 훈련시키도록 하는 청소년 대상의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그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high school stud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whether metacognition has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is model. The model fit was examined using PROCESS macro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the 290 adolescents (142 males and 148 females) who are attending high school in Korea as 10 and 11th gra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as related to the higher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the lower the academic performance. Higher metacogni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academic performanc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cademic performance. Third, metacognition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cademic performance. These findings might be used as a basis for parental education on the influe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education about the appropriate usage of smartphones and training metacognition in order to promote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