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메타담화 이론 및 화용신분 이론을 감안하여 코퍼스 자기 구축 방법, 질적과 양적 분석 방법을 결합시켜 학술지 논문 한국어 초록에서 중국인 연구자와 한국인 연구자 간 메타담화 및 신분 구축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인 연구자와 한국인 연구자가 구축한 신분은 모두 진술자, 조직자, 대화자, 평가자의 순이었다. 대화자의 경우, 양국 연구자는 모두 독자 언급 대화자보다 자기 언급 대화자를 더 많이 구축했는데 중국인 연구자는 한국인 연구자 비해 독자 참여 표지를 덜 사용했다. 평가자의 경우, 중국인 연구자가 한국인 연구자 비해 연구와 관련된 사물 또는 인물에 대해 덜 평가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필자 존재를 더 명확하게 표출하는 신분 구축 교육, 접속 표지, 환언 표지, 태도 표지, 독자 참여 표지 등 메타담화에 대한 설명, 중한 초록 쓰기의 유사성 설명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도 제시했다.


Drawing upon the metadiscourse classification framework and pragmatic identity theory, this paper compares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researchers in using metadiscourse for identity construction in Korean abstracts of academic journal papers. The results show that both Chinese and Korean researchers tend to construct identity of the same type and priority, namely in the order of narrator, organizer, interlocutor and evaluator. In terms of interlocutors, both tend to refer to themselves than to readers, and Chinese researchers use less engagement markers than Korean researchers. In terms of evaluators, compared with Korean researchers, Chinese researchers have less evaluation on things or people related to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also puts forward some educational enlightenment, such as identity construction of more clearly revealing the author, the explanation of transitions markers, code glosses, attitude markers, engagement markers, and the explanation of the similarity between Chinese and Korean in abstract wr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