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칸트의 『도덕형이상학』 덕론 편에 있는 윤리학적 교수법은 윤리학적 방법론의 핵심으로서 덕의 획득에 대한 칸트의 교육방법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윤리학적 교수법에 대한 덕론의 설명에 포함된 모호하거나 논쟁적인 부분들을 검토하면서 윤리학적 교수법의 성격과 실천적 의의를 탐색한다. 먼저 덕이 획득되는, 일종의 후천적인 도덕성인 이유와 덕의 획득을 위해 이론적 가르침에 해당하는 윤리학적 교수법과 수양적 훈련에 해당하는 윤리학적 수양법이 필요한 이유를 살펴보면서 윤리학적 방법론의 구조를 탐색한다. 또한 목표와 내용, 그리고 방법의 차원에서 윤리학적 교수법을 면밀히 검토하여 그 성격을 규명하고 윤리학적 교수법을 대표하는 도덕적 문답법이 도덕원칙에 대한 이해라는 목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 강제적이거나 독단적이지 않다는 점, 그리고 소크라테스적 방법에 해당한다는 점 등을 밝힌다. 나아가서 도덕원칙과 덕규칙에 대한 이해에서 의무를 준수하려는 결단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는 요인들 그리고 그러한 이해가 간접적으로 야기하는 감정 교육적 효과 등을 논의하면서 윤리학적 교수법의 실천적 의의를 고찰한다.


‘Teaching ethics’ in Kant’s the Doctrine of Virtue is an essential part of understanding Kant's doctrine of the methods on the acquisition of virtue. In this paper, I shall explore the nature and practical significance of ‘teaching ethics’ while scrutinizing the ambiguous or controversial parts included in the Doctrine of Virtue. First, the structure of the doctrine of the methods of ethics is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reason why virtue is a kind of acquired morality and the reason why the method of acquiring virtue requires both ‘teaching ethics’ and ethical ascetics. In addition, ‘teaching ethics’ is carefully examined in terms of goals, content, and methods in order to identify its nature. This examination reveals that moral catechism is not limited to the goal of understanding moral principles and that it is not a coercive or dogmatic method but a Socratic method. Also,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eaching ethics’ is considered by discussing the factors of ‘teaching ethics’ that enable students to move from the understanding of moral principles to the resolution to comply with duty and its indirect effect of triggering moral fe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