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천 일본육군조병창 제1제조소는 1920년대부터 일본군 20사단이 사용하던 부평연습장에 1939년부터 건설을 시작하여 1941년 개창하였다. 조병창의 건설은 인근의 군수산업공장들의 부설과 이를 위한 도시기반시설의 설치를 동반하였고, 산곡동 조병창의 노동자 주택을 비롯한 대규모 노동자 주택이 들어섰다. 그 결과 부평은 1939년부터 1944년까지 불과 5년 만에 군수공업도시로 급성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 일본육군조병창의 설치를 중심으로 부평의 산업 도시화 과정을 추적하고, 공간의 성격을 이해함으로써 인천군 병기고의 도시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경인시가지계획, 경기도 공업용지 조성계획 등 관련 도시계획을 검토하였고, 둘째, 인천 일본육군조병창의 정확한 위치 및 규모를 파악하고 주변부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조병창의 설치와 1940년대 부평의 도시 변화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조병차의 내부 공간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지금까지 드러나지 않았던 인천 일본육군조병창의 물리적 실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941년 인천 일본육군조병창의 설치는 부평의 공업화 및 도시화를 촉진하는 계기였으며, 1940년대의 부평은 인천 일본육군조병창을 중심으로 주변에 관련 군수공장들과 노무자주택들이 자리잡은 군수산업도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천 일본육군조병창 내부 공간의 성격과 주요 시설들을 파악함으로써 현재 반환되어 변화를 앞두고 있는 캠프 마켓 내 공간 및 개별 유산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The Japanese Army Arsenal in Incheon in Bupyeong was constructed in the site of the Bupyeong training ground used by the Japanese 20th Division since the 1920s from 1939, and opened in Bupyeong in 1941. The installation of the arsenal was accompanied by military industry, and urban infrastructure. In addition, many workers’ housing were built. As a result, Bupyeong rapidly grew into a military industrial city in just five years from 1939 to 19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industrial urbanization process of Bupyeong with a focus on the installation of the Japanese Army Arsenal in Incheon, and to reveal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Arsenal. For the this purpose, first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urban planning related with Bupyeong, including the Gyeongin Urban Planning(Gyeonginsigajigeyhoeik) and the Gyeonggido Industrial Site Development Plan(Gyeonggidogongupyongjijoseonggyehoeik). Secondly, the exact location and area of the Incheon Arsenal was analyzed. Besides, it is attempted to understand how the installation of Incheon Arsenal has affected the urban changes of Bupyeong in the 1940s, with the analysis of the surrounding area. Finally, by analyz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Arsenal, it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military industrial heritages in the Incheon Arsenal, which were recently unveiled. Consequently, it is revealed that Bupyeong in the 1940s had become a military industrial city with construction of military factories and workers’ housing around the Japanese Army Arsenal in Incheon. In addition, through analysis of spat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Army Arsenal in Incheon,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remained heritages in the Camp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