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제주 민담의 심층을 연구한 것이다. 종래 자료 수집에 머물던 것을 청산하고 제주 민담의 심층적 면모를 밝히기 위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다. 제주민담이 지니는 제주도만의 특수성과 이를 근간으로 세계적인 보편성을 해명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시도가 될 전망이다. 연구자는 칼 구스타브 융에서 비롯된 심층심리학의 연구 방법을 원용하여 제주도에 전승되는 특정한 민담에 주목하여 연구한다. 그것은 채순화의 구연본인 「손 없는 색시」 민담을 대상으로 한다. 이 민담은 1959년에 채록된 자료인데, 종래에 주목받지 못하였던 자료이다. 이론에 의해서 자료 해석이 가능하다고 하는 점이 선명하게 밝혀졌다. 채순화 구연본 「손 없는 색시」는 모성상의 그림자에 자극된 한 여성의 진정한 자아를 찾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종래의 연구 경향과 다르게 여성의 손 절단을 참다운 나를 찾기 위한 여정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손이 절단되고 나서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찾기 위한 여정이 시작되는데, 자신의 아이를 낳는 과정은 저승여행의 첫 번째 과정으로 재생(reincarnation)과 재탄생(rebirth)의 여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꿈에 나타난 어머니의 교시대로 손을회복하는 것과 아이를 물에 빠뜨렸다가 건지는 과정은 최적의 좌절(optimal frustration)을 통한 부활 과정으로 해석한다. 아울러서 자신의 부모를 다시 만나는 것은 현실세계로의 복귀과정과 자아의 기여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라고해석하였다. 제주 민담의 심층을 해석하고 보니 이 분석심리학을 원용하여 그림자로 드러난 상처받은 치유자의 여행으로 상정하고 이 이야기의 전반적인 맥락을 다루는 것은 무척 유용하다. 조작된 임신과 실제적 임신은 외부에 의해서 투사된 그림자의 전개 단서이고, 실제적 임신은 새로운 여정을 시작하기 위한 재생과 재탄생의 예고에 해당한다. 이는 마치 신병이나 무병을 앓는 존재가 새로운 재생을 위한 저승여행과 비교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에 적절한 최적의 자료가 바로 채순화 구연본 「손 없는 색시」이다.


This paper studies an in-depth analysis of a Jeju folktale, “The Maiden without Hands.” It focuses on exploring the depth psychological approach beyond story data collection and annotation, as has been done in the past. Understanding Jeju Island'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eem significant while searching for its connection to mythological commonality worldwide. Based on Carl Gustav Jung's depth psychological tradition, this research follows a specific folktale, “The Maiden without Hands” preserved on Jeju Island for a few centuries. This paper will use a story document narrated by Chai Soon Hwa. Generally speaking, although this folktale was recorded in 1959, unfortunately, it has not been widely recognized and escaped attention. Nevertheless, it clearly illustrates as an example that collected data can be revitalized through suitable theoretical lenses. Chai Soon Hwa's oral text “The Maiden without Hands” can be construed as a story of finding the true self confined by the shadow of motherhood (mother imago). Departing from previous interpretations, this study focuses on hand amputation and connects it as a pathway to finding one's true self. As the journey begins, she gives birth to a child, and produces a new life, as her journey begins, which can be seen as a symbolic motif for an underworld journey and the first step of rebirth. Recovering her hand and saving her child, as her birth mother advised in her dream, exhibits a reincarnation process through optimal frustration. Lastly, we analyzed the encounter with her parents as she returned to the world from the underworld journey and completed the individuation process. This depth approached analysis appears to show a possibility to lead a new horizon of expansion of Jeju folktales interpretation. For example, falsely accused pregnancy and authentic pregnancy allude to the shadow projection from the outside world, and actual pregnancy preludes regeneration and rebirth through an underworld journey. Therefore, "The Maiden without Hands" can be considered a wounded healer’s journey. It also suggests a story of shamans who suffer near-death experiences (shaman illness) and are reborn as healers through an initiation ritual. Undoubtedly, Chai Soon Hwa's oral text, "The Maiden without Hands" exemplified how collected folktales can be re-contextualized with the theory of depth (analytic)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