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일의 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다문화 청년들이 지각한 진로 장벽, 괜찮은 일자리의 관계를 일 자유의지와 진로 적응성이 매개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변인들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다문화 청년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모형의 적합도는 다문화 청년들의 자료를 적합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계수에서는 진로 장벽에서 진로 적응성, 괜찮은 일자리로가는 경로를 제외하고 모든 직접경로가 유의하였다. 다집단분석 결과 두 집단의 모형적합도는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계수를 보면 진로 적응성에서 괜찮은 일자리로 가는 직접경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년들의 일자리 개선을 위한 개입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a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decent work among youth with migrant backgrounds. Three hundred multicultural youths with mixed parentage, including both native-born and foreign-born youth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ur findings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mediation model adequately explains the current data; in terms of the path coefficients, all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paths, career barriers → decent work (predictor to outcome) and career barriers → career adaptability (predictor to mediator). Multi-group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it of the models of the two groups (native-born vs. foreign-born); in terms of the path coefficients, only the direct path from career adaptability to decent work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