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RVT가 측정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반청소년과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반응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청소년 50명과 학교부적응 청소년 50명이며, RVT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3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채점자간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고 두 집단의 반응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VT 그림의 형식척도 중 ‘색칠 정도', ‘색의 적절성', ‘내적 에너지', ‘공간', ‘논리성', ‘주변 환경', ‘선의 질', ‘보속성’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RVT 그림의 내용척도 중에서는 ‘꽃의 색', ‘꽃의 크기', ‘꽃의 수', ‘꽃의 건강', ‘줄기의 굵기', ‘잎의 크기'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RVT 그림의 PDI척도 중 ‘꽃의 건강상태', ‘꽃의 기분', ‘결말의 낙관성', ‘자기인식’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general adolescents and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o determine whether the rose bush visualization technique (RVT) can be used as a projection test too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0 general adolesc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and 50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RVT was used as an inspection tool. Data collection occurred from March 2021 to August 2021. In the data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determine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scorers, and a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ormal scales of RVT figures,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colorability,” “appropriateness of color,” “internal energy,” “space,” “logic,” “peripheral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of a line,” and “repeatability.” Second, among the content scales of the RVT figure,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olor of flowers,” “size of flowers,” “number of flowers,” “health of flowers,” “thickness of stems,” and “size of leaves”. Third, among the PDI scales in the RVT figure,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lower health status,” “flower mood,” “optimism of the end,” and “self-awarenes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then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