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시대 젊은 남녀의 결혼은 당연하였다. 결혼은 가정 구성의 시작이었고 확충이었으며, 집안의 대를 잇는 중요한 일이었다. 이런 사회에서 ‘동정생활’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조선 천주교회는 100여 년 동안 직접적인 박해를 받았다. 천주교를 믿으면 목숨을 내놓아야만 했다. 초기 로마가톨릭의 모습이 그대로 재현되었다. 그들 가운데 많은 동정자들이 있었다. 이 연구는 동정자들이 왜 생겨났으며, 어떻게 생활하였고, 교회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규명하는 데 있다. 동정생활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기를 구분하였다. 첫 번째 시기는 조선 천주교회 형성기이며 1784년부터 1819년까지이다. 두 번째 시기는 선교사 진출 시기이며 1820년부터 1839년까지이다. 세 번째 시기는 선교사 정착 시기로 1878년까지이다.


In the society of Joseon, marriage was granted as a duty. It was the beginning of a family, expansions of labors, and very important actions to carry on family lines. So, in that situation, "Life of Virginity" was almost impossible. Joseon Catholic Church was persecuted severely about one hundred years. If someone believed in God the Father, he/she was destined to be executed. This was the representation of early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re were lots of virgins in Joseon. The goal of this paper is trying to find answers about following q uestions. 1) W hy t hey c hose a l ife o f v irginity? 2) How they lived?, and 3) What they did in the Joseon Catholic Church? To find the types of virgin life, the author divided the period into three. The first period is that of Joseon Catholic formation, from 1784 to 1819; the second is the missionary entry period, from 1820-1839; and the third and last is missionary settlement period until 1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