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말더듬 청소년과 성인의 인지적, 정서적 특성을 일반 청소년 및 성인과 비교한 연구들의 동향, 인지 및 정서적 특성, 비교 연구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80년부터 2022년 3월까지 국내외 발표된 말더듬 청소년 또는 성인의 인지, 정서에 관련된 주제로 발표된 연구 총 976편 중 일반 대조군이 있으며 두 집단의 내면적 특성을 비교한 연구 58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들의 연구대상, 발표연도, 내면적 특성, 검사도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의 동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구의 수가 증가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이 청소년인 연구는 7편이었고, 성인인 연구는 51편이었으며, 연구에서 다룬 내면적 특성 중 인지적 특성은 24편, 정서적 특성은 26편, 인지ㆍ정서적 특성은 8편이었다. 둘째, 청소년 연구에서 가장 자주 연구된 주제는 불안, 우울, 사회 불안이었고, 성인 연구에서는 불안, 사회 불안, 의사소통 태도였다. 인지적 특성으로는 의사소통 태도, 인지적 스트레스, 효능감이, 정서적 특성으로는 불안, 사회 불안, 우울이, 인지ㆍ정서적 특성으로는 주의편향, 대처, 삶의 질 등이 높은 빈도로 연구되었다. 셋째, 연구의 결과는 의사소통 태도, 인지적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은 모든 연구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고, 해석편향은 차이가 없었다. 정서적 특성 중 불안과 사회불안은 상반되는 결과가 공존했으나, 최근 연구들에서는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많았다. 인지ㆍ정서적 특성에서는 주의편향이 차이가 있다는 연구가 많았고, 기질이나 성격에 관한 연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말더듬이 진행됨에 따라 청소년기나 성인기가 되면 내면적 측면의 문제가 점차 심해지고 이에 대한 평가나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말더듬 청소년과 성인의 정서적, 인지적 특성을 이해하고 평가나 중재, 상담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ults of comparative studies o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adults with stuttering. Methods: From 1980 to March 2022, 976 studies published on the topic of cognition and emotion of adolescents or adults with stuttering were published, which formed the control group. Among these, 58 studies compared intrinsic characteristics. The study subjects, publication year,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ies increased over time. There were 7 studies with adolescents, 51 studies with adults, and 24 cognitive characteristics, 26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8 cognitive-emotional characteristics among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covered in the study. Second, the most frequently studied subjects in adolescent research were anxiety,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In adult research, anxiety, social anxiety, and communication attitude were the most common subjects. Third, the results of the characteristic comparative study showed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attitude, cognitive stress, and self-efficacy in all studi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bias. Among emotion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udies with and without differences in anxiety and social anxiety, but recent studies showed differences.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showed differences in attentional bias in cognitive-emotion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Stuttering in adolescence or adulthood is a serious problem in the internal aspect, and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evaluation and treatment.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emotion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adults with stuttering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evaluation, intervention and couns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