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텍스트 유형에 따른 한국어와 중국어 대립관계 접속표현 사용 양상을 기술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대립관계 접속표현 교육 자료의 한계를 확인하고, 중국인 학습자 대상 대립관계 접속표현 교육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 대립관계 접속표현 체계와 목록을 대비하고, 말뭉치를 활용해 한국어 대립관계 연결어미와 접속부사, 그리고 중국어 대립관계 연사의 사용 빈도를 조사하고, 말뭉치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대립관계 접속표현이 문·구어 텍스트별로 어떤 표현들이 선호되고 있는지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한국어 대립관계 연결어미의 구어성은 ‘-(으)ㄴ/는데 > -지만 > -(으)나’, 문어성은 ‘-지만 > -(으)ㄴ/는데 > -(으)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접속부사의 구어성은 ‘그런데 > 하지만 > 그러나’ 순으로 나타났다. 문어성은 역으로 ‘그러나 > 하지만 > 그런데’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어 대립관계 접속표현의 구어성은 ‘不过 > 虽然...可是 > 虽然...但是’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문어성은 ‘虽然...但是 > 虽然...可是 > 不过’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대립관계 접속표현의 교육 방안을 개발을 위한 교육학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atterns of realization of the conjunction of contrast between Korean and Chinese according to the text types in order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teaching materials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on the conjunction of contrast and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on the conjunction of contrast for them. For this purpose, first, the study compares the systems and lists of conjunctions in Korean and Chinese, and investigates the frequency of conjunctions of contrast of Korean and Chinese utilizing corpus of the two languages. Based on the corpus analysis, the study observes which expressions of conjunction of contrast in Korean and Chinese are preferred in accordance with the written or spoken tex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oquiality of the Korean connective ending is ‘-(eu)n/neunde>-jiman>-(eu)na', but the frequency order is ‘-jiman>-(eu)na>-(eu)n/neunde' in the literary texts. The colloquiality of connecting adverbs appears in the order of ‘geureonde>hajiman>geureona’. The order is presented inversely in the literary texts. Second, the colloquiality of Chinese conjunction of contrast is found to be ‘虽然...可是>虽然...但是>不过', and ‘虽然...但是>不过>虽然...可是' in the literary text.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vides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teaching method of Korean conjunction of contrast for Chinese lear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