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 문해 교육의 내용이 호주와 캐나다의 자국어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확장된 문해력 개념을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중 문해력, 비판적 문해력, 디지털 시민성 등을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을 높은 수준에서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는 호주와 캐나다의 자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호주와 캐나다의 자국어 교육과정에는 시각 텍스트에 대한 교육이 구어와 문어에 대한 교육과 함께 포함되어 있고, 다중문해력 및 비판적 문해력과 교육 내용이 잘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은 학생이 자신의 생활이나 관심사에 주목하고, 일상을 기록하고 탐구하도록 하여 유치원과 초등학교 학생 등의 낮은 연령의 학생들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호주와 캐나다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교육은 텍스트의 신뢰성과 타당성만을 판단하는 좁은 의미의 비판적 읽기가 아니라, 학생이 자신이 읽고 생산하는 텍스트를 면밀하게 검토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재구성하며, 다양한 목적과 청중을 고려한 텍스트를 생산해내는 비판적 문해 활동을 바탕으로 해야 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의미를 전달하는 매체로서 지면과 화면으로 전달되는 디지털 매체의 특징을 비교하는 교육 내용 등에 주목하였다. 이에 향후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문해력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내용 마련이 필요하고, 학교 현장의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교육의 안착을 위해 매체 영역 신설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ontent of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was reflected in the language arts curriculum in Australia and Canada, and to investigate ways to reflect the expanded literacy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was examined whether literacy is reflected in Australia and Canada's language arts curriculum beyond traditional literacy, including critical literacy, multiliteracies, and digital citizenship. In Australia and Canada, visual texts are incorporated into the language arts curriculum, along with spoken and written languages, as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multiple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As early as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grades, students are taught multiliteracy skills, such as interpreting socio-cultural contexts related to performances and creating meaning based on their own lives, then transferring meanings to other contexts. Through intra- and inter-subject convergence education, the digital media literacy achievement standard can support the reconceptualization of literacy, expanding Korean language content as well as helping students learn other subjects, which expands the meaning of learning Korean. The Korean language art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with specific content on digital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a new strand for media lite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