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이 개발 중이다. 3,4학년군 역사영역은 시간의 변화와 연속성, 증거 활용 등의 역사개념을 중심으로 6개의 성취기준을 설정하였고, 5,6학년군은 연대기구조 속에서 생활사 중심으로 9개의 성취기준을 설정하였다. 이 성취기준을 정하는 1차 시안 개발과정에서 역사와 관련하여 쟁점이 되었던 부분을 이 글에서 정리하였다.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과정에 나온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사회과 통합원리는 무엇인가? 둘째, 초등역사성취기준은 어떻게 제시해야 하는가? 셋째, 초등학생들의 역사이해수준을 고려한 역사지식은 무엇인가? 넷째, 연대기구조 속 생활사는 초등역사의 적절한 대안인가? 이 쟁점들로 초등역사와 초등사회과의 관계, 중등역사와 초등역사의 관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첫 번째 논의는 초등사회과 성취기준을 개발하는 과정 때마다 되풀이되는 쟁점이기도 하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통합성취기준 설정과 역사 분산배치 여부가 뜨거운 논쟁거리가 되었다. 통합적 접근은 각 영역에 대한 학문적 이해와 배려를 전제로 이루어져야 한다. 통합의 목적인 융복합적 사고의 육성은 교과개념의 오류나 탈맥락적인 상황을 묵인해가면서 달성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상황이라면 역사는 비역사적, 탈맥락적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회과에서 분리될 수밖에 없다. 역사가 사회과에서 독립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를 사회과 밖으로 밀어내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초등사회과의 통합 논의나 초등역사 성취기준 논의에서 학생들의 반응, 학생들의 수준을 근거로 한 교육적 논리를 중요하게 다루었다. 학생들이 어려워한다는 말이 수시로 나왔으나 무엇을 어떻게 어려워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자문을 구하는 과정에서 모든 연구자들도 초등의 경우는 특히 학생들이 무엇을 요구하는지를 경청해야 한다는 의견을 주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한 성취기준을 위해서는 어린이 역사 연구가 좀 더 외연을 확장하고 깊이를 더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being developed. The 3rd and 4th graders used the concept of history to create 6 achievement standards. The 5th and 6th graders made 9 achievement standards with a life history approach. This article summarizes the historical issues in the first draft process. The main issues are: First, what is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integration principle? Second, how should the elementary school history achievement standards be presented?? Third, what is the historical knowledge considering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histo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is life history an appropriate alternative to elementary school history? These issues can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history and elementary socie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condary history and elementary history. In particular, the first discussion is a recurring issue every time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are developed. An integrated approach should be made on the premise of academic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for each area. Cultivation of convergence thinking cannot be achieved while condoning conceptual errors or out-of-context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students' reactions and students' level were treated as important in the discussion on the integrat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or elementary history achievement standards. It was often said that students had difficulties, but there was no systematic study on what and how they had difficulty.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achievement standards that reflect the needs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expand and deepen children's history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