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미디어 분야에도 인공지능(AI)을 결합한 서비스들이 출시되면서 기획부터 소비까지, 콘텐츠 생애전 주기에 다양한 형태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AI 기술 운용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높은 초기비용이 요구되기에 장기적으로 이를 수용 가능한 대형 미디어 콘텐츠 제작사는 AI 기술의 이점을 바탕으로 시장 내에서 경쟁우위에 설 수 있지만, 여력이 부족한 영세 미디어 콘텐츠 제작사는 상대적으로 열위에 설 수밖에 없다.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편익에도 불구하고 이를 누릴 수 있는 사업자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우려가 AI 산업 내 팽배하다. 정부 정책의 완결성이 늘 높은 것은 아니나 그간 추진된 미디어 정책들은 산업의 성장을 꾀하면서도 시장 내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획되어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AI 미디어, 특히 AI 기술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AI 미디어 제작환경 구축 시 시장에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방안과 철학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조사를 통해 AI 미디어 제작환경 구축을 위한 선결과제와 우선순위를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가들은 인프라 지원과 데이터 지원을 가장 우선도가 높은 과제로 꼽았으며, 특히 학습용 데이터 마련을 위해 기존의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ver the past years, the broadcasting and media industries have constantly been changing themselves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But unlike in the past, entirely different aspects are showing up on adopting technologies which bases at AI(Artificial Intelligence). Since it requires high initial costs to operate of AI technology, small-scale manufactures with a lack of resources continue to experience high entry barriers, while large media content manufactures retain sufficient resources to create myriads of content and supply them. Hence, the gap between the two productions is getting wider. In this research, we first scrutinized various governmental policies, set three major tasks and eight detailed implementation tasks, and conducted an AHP based expert survey to derive the priorities for the ‘AI media environment establish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I media-related experts prioritized policies regarding “infrastructure support” and “data support” by 43.4% and 41.2%, respectively. Moreover, after examining the overall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ies, “data for private and public domain database” was evaluated as the essential factor to build a stable AI media productio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