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번 논문은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이주노동자들이 여러 예술장르 안팎에서 보여준 다양한 퍼포먼스의 ‘의례적 가치’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특히, 이주민예술단체인 ‘아시아미디어컬쳐팩토리’를 중심으로 기획된 다양한 예술적 퍼포먼스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주민들의 여러 퍼포먼스를 의례적 측면에서 해석하기 위하여 의례가 지닌 ‘변증법적’ 가치(빅터 터너)와 ‘상호작용적’ 가치(어빙 고프먼)를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컬쳐팩토리는 ‘프리포트’라는 대안문화공간을 운영하며 이주민들이 ‘예술을 원하는 우리’로서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 ‘리미널 공간’을 마련하였다. 이주민들은 이곳을 발판으로 여러 예술활동(사진, 조형물, 영상, 문학 등)을 실천하며 다양한 의례적 가치를 생성하였다. 또한, 필자는 청와대 앞 광장에서 시행된 이주민노동조합의 1인 시위(특히, 쇠사슬 퍼포먼스)에 대한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퍼포먼스의 의례적 가치를 추적하였다. 이주노동조합은 이주민을 옭아매는 고용허가제의 폭력성을 알리고자 청와대 앞 광장에서 쇠사슬 퍼포먼스를 시도했지만, 경찰들은 각종 이유(혐오, 자해위험)를 들어 쇠사슬 시위 자체를 중단하려 했고, 그러한 마찰 속에 쇠사슬은 ‘철제’에서 ‘플라스틱’으로, 마지막에는 ‘인쇄물’로서 재현되었다. 이 과정 속에서 이주민은 쇠사슬이라는 상징물을 통해 고용허가제의 문제점을 재현하려 했지만, 경찰들은 그 같은 상징적 의미와 구체적 요구사항에 귀 기울이기보다는 쇠사슬이 가진 물리적 속성에만 관심을 가졌다. 본고는 이처럼 이주민들의 다양한 의례적 퍼포먼스가 지닌 가치를 분석함과 동시에 한국인이 상실해가고 있는 의례적 실천 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In this thesis I deal with the 'ritual value' of various performances that migrant workers have shown in and outside of various art genres amid the Covid-19 crisis. In particular, I looked into various artistic performances centered on 'Asia Media (Culture AMC) Factory', an art group for migrants. In order to interpret various performances of migrants from the ritual perspective, I focused on the ‘dialectical’ value (Victor Turner) and the ‘interactive’ value of the ritual (Irving Goffman). AMC Factory operates an alternative cultural space called ‘Freeport’, and has prepared a ‘liminal space’ where migrants can freely interact as ‘we who want art’. Immigrants practiced various artistic activities (photography, sculpture, filmmaking, literature, etc.) using the AMC Factory as a stepping stone and they have created various ritual values. I traced the ritual value of the performance based on the fieldwork of the one-man demonstration (especially the chain performance) of the migrant labor union held in the plaza in front of the Blue House. The migrant labor union attempted a chain performance in the plaza to publicize the violence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EPS) that binds migrants, but the police tried to stop the chain protest for various reasons (hate, risk of self-harm). After the struggle, the chain was switched from 'iron' to 'plastic' and finally to 'print'. In the process, migrants tried to reproduce the problems of the EPS through the symbol of a chain, but the police were only interested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hain rather than being attentive to the symbolic meaning. This paper analyzes the value of various ritual performances of migrants and, at the same time, examines how Koreans are losing their ability to practice ritu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