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포도주나 치즈, 커피, 홍차처럼 향과 맛을 음미하는 음식과 관련하여 재료의 원산지가 갖고 있는 지형과 기후의 특징이 원재료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말할 때 언급하는 떼루아의 개념을 활용하여 한국 사회에서 지역특산물이 그 지위를 유지하고 품질을 발전시켜가는 과정에 적용하였다. 떼루아는 생산지의 자연요소, 즉 절대적으로 바뀔 수 없는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라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떼루아는 생산 가치 향상을 위해 생산자들이 추구해야 할 이상향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 구축될 수 있는 개념으로 바라본다. 떼루아의 활용과 구축의 실천적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자는 청도군의 지역특산물인 청도반시 사례를 살펴보았다. 청도군의 지역 특산물인 청도반시는 전국 유일한 씨 없는 감으로 유명한데, 씨 없는 감이라는 품질적 특징을 지리적표시 등록을 통해 법적 지위를 인정받았고, 이후 이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수꽃 제거 사업과 재배 교육, 모니터 조사 등을 운영하였다. 지방 정부와 지역 생산자들의 이러한 노력과 협조는 청도반시의 떼루아를 유지하고 과수의 품질 향상으로 이어졌다. 청도반시의 사례는 지역특산물의 가치가 사회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dea of terroir which means the taste of a place when describing foods like wine, cheese, coffee, and tea, which have flavors and tastes specific to their place of origin. In this work, I apply the concept of terroir to local specialties in Korea. Terroir is a natural concept firmly formed by unchangeable elements. However, terroir has recently been presented as an ideal concept for farm producers to represent their products, which means it can be considered as a social concept to be constructed. Cheong-do is a county well-known for its local specialty, Bansi persimmons.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persimmon is that it is “seedless”. As the seedless persimmon became popular, the county valued it highly and registered its geographical identification. Since the persimmon was accepted as the object for geographical identification, farmers and officials in Cheong-do have struggled to keep its quality and the distinct feature. This case study shows how local people and government practice for protecting the terroir and its quality, defining their local specialty as the seedless persimmon. Also the case of Cheong-do demonstrates that the value of a local specialty can be socially constr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