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기에 접어들면서 한국 정부는 2015년 노후준비지원법을 제정 및 시행했다. 이에 다양한 정부부처에서 경쟁적으로 노후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한국형 노후준비교육의 장이 형성됐다. 노후준비교육의 장을 지탱하는 평생교육 패러다임은 평생에 걸쳐 스스로를 재조직해야만 한다는 자아의 기술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노후준비교육의 장은 신자유주의 체제 이후 생애 과정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장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간의 참여관찰과 교육 참가자 및 노후준비교육 강사와의 심층 인터뷰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살펴본다. 첫째, 신자유주의 체제로의 전환 이후, 한국형 노후준비교육의 장이 형성된 고유의 맥락과 구조적 특징을 분석한다. 둘째, 교육 참가자를 노후를 경영하는 자아로 주체화하는 담론 기술의 특징을 살펴보고, 담론의 효과로 파선적 생애주기가 구축됨을 규명한다. 셋째, 본 연구는 담론과 현실과의 간극으로 인해 노후를 경영하는 주체에 균열이 발생하는 측면과 이러한 통치성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노후준비교육의 장이 지속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 통치성이 생애 과정에 어떠한 궤적을 남기고 있는지, 죽음의 의미와 자리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고찰한다.


As the baby boomer generation entered their retirement years, the government enacted and implemented the Retirement Preparation Support Act of 2015. As a result, various government agencies competed to provide education programs for retirement preparation and established the market for Korean-style retirement preparation. Inherent in the lifelong education paradigm of retirement preparation are the technologies of the self, a reflexive subject that knows itself and needs to restructure itself throughout life. For this reason, the field of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is also a field for which one can trace the changes to the life course as a result of the emergence of neoliberalism. This study is based on a three-year period of fieldwork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that I carried out from 2016 to 2018, with interviews that I conducted with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participants and instructors. First, the study identifies the unique background and structural context of the Korean-style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field, which developed after the emergence of the neoliberal regime. Secondly, the study examines the discursive techniques that are used to establish (pre-)retirees as subjects that self-manage their retirement and the construction of a broken-lineal life course through the effect of the discourse. Thirdly, the study identifies the aspect in which ruptures occur in the subject-making project of managing old age. This rupture occurs due to the gap between these discursive techniques and reality, and the mechanism by which the retirement preparation education industry continued despite the limitations of such governmentality.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what kind of trajectories neoliberal governmentality leaves in the course of life and how it changes the meaning and place of death.